“여가부 존폐 논란 딛고 성평등가족부로 확대”…원민경, 정책 동력 복원 강조
정치권에서 여성가족부 존폐와 관련한 긴장감이 이어지는 가운데,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부처의 안정과 정책 동력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장기간의 장관 공백과 정책 추진력 약화 지적 속에, 성평등가족부로의 조직 확장 및 기능 강화론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원민경 후보자는 1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앞에서 “여성가족부의 안정과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강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그는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한 출근길에서 “존폐 논란과 장기간의 장관직 부재로 (여가부의)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했을까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원 후보자는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 개편을 통해 성평등 정책의 총괄 조정과 거버넌스 기능을 강화하고, 부처 위상과 정책을 확대하는 힘 있는 성평등가족부를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원 후보자는 “이를 기반으로 교제폭력, 디지털 성폭력, 성매매 등 폭력 문제 대응과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 노동시장의 성차별 해소, 위기 취약가족·청소년에 대한 두터운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강경한 어조로 성평등 정책과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부처의 추진력을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정치권은 원 후보자의 메시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당 일부 의원들은 “여성·가족 정책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큰 만큼, 현실적 정책 조정력과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며 환영 입장을 전했다. 반면 일각에선 “여가부 존치 여부에 대한 국민적 시각이 유동적인 만큼, 확장 개편보다는 기능 재조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성평등 기반 부처 강화는 정책 일관성에 기여하겠지만, 사회 통합적 접근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민경 후보자는 여성·가족법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변호사로, 민변 여성인권위원장과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 한국여성의전화 이사 등 시민사회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같은 이력은 성평등 정책 추진력에 힘을 더할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성가족부 인사청문회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부처 위상 재정립과 현실적 정책 과제에 관한 논의가 정치권에서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청문회 과정에서 정책 방향 구체화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