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격노설 핵심 배석자 소환”…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해병특검 수사 본격화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들과 특검이 맞붙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재한 2023년 7월 31일자 이른바 'VIP 격노' 회의에 참석한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이 14일 해병특검에 출석하면서 사건의 실체 규명을 둘러싼 정치적 격랑이 커지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회의 배석자들을 집중 조사하며 당시 대통령실에서의 보고 및 지시 과정을 정조준하고 있다.
이충면 전 비서관은 14일 오후 1시 30분께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그는 현장에서 취재진이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이 채 상병 순직 사건에 대해 보고했는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는 장면을 직접 보았는지' 등을 물었으나, 일절 답변 없이 조사실로 향했다. 이 전 비서관은 사건 발생 당일 대통령 주재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한 인물이다.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채상병 순직 사건 보고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즉답·지시 과정, 그리고 회의 참석자 사이 정보 전달 구체적 경위를 조사할 방침이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채상병 사건 조사 결과 보고를 받고 직접 격노,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질책하며 경찰 이첩을 중단시키고 수사 방향을 바꿨다는 의혹이다.
회의 참석자는 윤석열 전 대통령,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이관섭 전 국정기획수석,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등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특검 브리핑에선 이충면 전 비서관과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도 참석했다는 사실이 추가로 드러나면서, 회의 현장에 있던 인물들의 증언 확보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특검팀은 지난 11일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로 조사했다. 이어 이 충면 전 비서관, 또 이번주 중으로 왕윤종 전 비서관 등 나머지 배석자들도 차례로 소환해 VIP 격노설의 주요 정황과 수사외압 의혹의 실체를 가리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조태용 전 국정원장,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등 주요 인물도 조만간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소환 조사 역시 본격 추진된다. 각 참석자 진술의 공백과 상반되는 증언이 드러날 경우, 진상 규명과 함께 정치적 파장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특검은 회의 참석자 전원을 상대로 진술을 확보한 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최종 조사 방향을 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