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함대 사령관 후보 지명 철회”…마이클 도넬리, 드래그쇼 논란 속 한미 해군 지휘 공백 우려
연합 해군작전의 핵심 지휘권을 둘러싼 미 해군과 국방부의 교체 결정이 파장에 휩싸였다. 한반도 유사시 한미 연합해군을 지휘하는 미 7함대 사령관 후보로 지명됐던 마이클 도넬리 제독의 임명 절차가 철회됐다. 해당 사안은 논란이 된 드래그쇼 허용 문제와 맞물려 추가적 정국 영향이 예상된다.
미 군사전문지 네이비타임스는 15일(미국 시간)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7함대 사령관에 대한 도넬리 제독 지명을 철회했고, 국방부가 이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미 국방부 고위당국자는 성명을 통해 "헤그세스 장관은 그(도넬리 제독)의 지속적인 봉사에 감사하며 그의 다음 직책에 대해 행운을 빈다"며 "국방부는 새로운 7함대 사령관 후보 지명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클 도넬리 제독은 지난 6월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으로부터 한반도 주변 수역과 서태평양, 인도양 일부를 관할하는 미 7함대 사령관에 지명됐으나, 7년 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 함장 시절 진행된 '드래그쇼' 허용 논란이 확산되며 지명 철회 압박을 받아왔다.
네이비타임스는 “도넬리 후보자의 사령관 지명 철회는 드래그쇼 논란이 확산되는 맥락에서 결정됐다”고 전했다. 드래그쇼는 성 다양성 존중 및 성소수자 권익 신장 차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기도 하나, 보수진영을 중심으로 군 기강 문제와 도덕성 논란이 동반돼 정치권에서 논쟁이 거세졌다.
정치권과 군 안팎에선 7함대 사령관 공석 사태가 한미 해군 연합작전의 연속성, 장기적 안정성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보수 진영에서는 군 기강 강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진보 진영과 성소수자 인권단체들은 군 조직의 다양성과 포용성 확대를 주문하며 상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향후 국방부의 새로운 후보 지명과 상원 인준 과정, 그리고 7함대 공백이 한미 연합군 체계 및 동북아 안보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미국 국방부는 조속한 7함대 사령관 후보 추천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