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건진법사 측근·처남 휴대전화 압수”…김건희 피의자 제외, 공천 의혹 정조준
여권 실세 오피니언 리더와 대통령실 인사 간 유착 의혹을 두고 정치권이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022년 지방선거 출마자 공천 청탁을 둘러싼 ‘건진법사’ 전성배씨와 그 처남, 그리고 대통령실 행정관 사이의 휴대전화 압수에 들어가면서 의혹이 확대되고 있다. 피의자로 주목받던 김건희 여사는 이번 압수수색엔 이름이 제외돼, 향후 수사 흐름에 관심이 쏠린다.
특검팀은 7월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서 전성배씨 변호사가 보관 중이던 본인 명의 휴대전화 2대와 처남으로 알려진 김씨의 휴대전화 2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압수수색영장에는 2022년 6·1 지방선거 당시 전씨의 알선수재 혐의가 적용됐다. 직접 청탁 명목으로 받은 금품이 실제 정부 실세들에게 전달됐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다.

특히, 영장에는 김건희 여사가 피의자로 명기되지 않았고, 통일교 연루나 기타 ‘윤석열 라인’ 핵심들의 이름도 빠졌다. 그럼에도 전성배씨가 과거 공천 청탁 대가로 청탁자들로부터 금품을 받은 뒤 정부 인사들과 공유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정치권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검찰은 앞서 전성배씨 휴대전화 포렌식에서 대통령실 신 모 행정관을 ‘처남 몫’으로 적시한 문자를 확보한 바 있다. 전씨는 “신 행정관과 처남이 대선 때 함께 일하며 친분이 두터워 언제든지 부탁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수사선상에 오른 전성배씨 측은 “이미 검찰 수사 당시 포렌식된 휴대전화를 특검이 재차 확보해 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남부지검도 과거 2018년과 2022년 지방선거 당시에 전씨 공천 브로커 의혹을 수사한 이력이 있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양재동 전씨 주거지도 방문했으나 그를 직접 확보하진 못했다. 전씨는 법당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특검은 법당 현장에도 검사와 수사관을 급파해 추가 기록과 자료를 확보했다.
정치권에서는 특검팀이 이번 압수수색을 계기로, 혐의점이 확인될 경우 김건희 여사에 대한 직접 조사로도 수사를 확대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 간 핵심 인물 연루설 공방도 더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특검팀은 우선 전성배씨의 알선수재 의혹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전씨와 정부 핵심 인사 간 접점이 추가로 드러날 경우, 수사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국은 압수수색 이후 여론의 향방과, 김건희 여사 소환 여부에 따라 다시 한번 치열한 공방전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