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 신뢰성과 정보보호 강화”…이재명 대통령,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임명

허준호 기자
입력

인공지능(AI)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를 둘러싼 긴장감 속에 대통령실이 새로운 인사를 단행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일 송경희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원 인공지능신뢰성센터장을 장관급 개인정보보호위원장으로 임명했다. 맞물려 신설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 첫 위원장에는 김현권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발탁했다. 정치권과 정부 일각에서는 정보보호·환경 정책을 둘러싼 새로운 국면 조성을 놓고 기대와 관심이 모인다.

 

송경희 신임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소프트웨어 정책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등 주요 보직을 거치며 AI 및 ICT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았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AI 정책이나 이용자 정책에 정통한 인사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정보보호 체계를 확립할 적임자"라고 밝혔다. 최근 AI 기술이 급속히 진화하는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 등 부작용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전문성을 우선시한 인사를 등용한 것으로 읽힌다. 송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지낸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동생이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 초대 위원장에는 김현권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임명됐다. 그는 한국농촌공사 비상임이사,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해 환경과 에너지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대변인은 "정무적 역량, 소통 능력, 갈등관리 능력을 입증한 만큼, 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서 사회적 대화와 공감대 형성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인사에 대해 여권과 정부 관계자들은 첨단 정책 환경에서 전문성과 소통 역량을 동시에 갖춘 인선이라는 점에 주목하며, 정보보호와 환경 등 분야별 현안 대응에 안정감을 가져올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일각에서는 핵심 보직에 정치적 배경이 있는 인사가 중용되는 데 대해 우려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차세대 AI 정책과 방사성폐기물 관리 방향을 둘러싼 사회적 토론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정부는 이어지는 정책 환경 변화에 맞춰 관련 체계 정비와 사회적 대화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송경희#김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