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교육장관 지명 두고 ‘적임’vs‘불통’ 논쟁”…충남대·교육계 여론 격돌
정치권과 교육계가 이진숙 전 충남대학교 총장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둘러싸고 치열하게 맞붙었다. 교직 경력과 지역 혁신사업 경험을 높이 평가하는 목소리와, 평화의 소녀상 건립·대학 통합 과정의 소통 부재 등으로 지명 재검토를 요구하는 비판이 평행선을 이루는 상황이다.
2일 충남대 총동창회는 성명을 통해 “이진숙 후보자는 우리 교육의 구조적 개혁과 국가균형발전을 이끌 적임자”라며 교육부 장관 지명을 환영했다. 총동창회 측은 “전국 최초의 거점국립대학 여성 총장으로, 대전-세종-충남을 연결하는 초광역 캠퍼스 구축과 1조원 이상의 국가 재정 확보 등에서 뚜렷한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또한 “개방형 연구복합체 도입,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활동 등을 통해 교육행정 전반의 이해를 높였다”고 강조했다.

대전충청지역대학노동조합 지부장단 역시 “언론과 공공기관, 대학 행정을 아우른 입체적 시각과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라며, 교육의 공공성과 혁신성 조화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비판적 시각도 거세다. 충남대 민주동문회와 양해림 교수 등은 전날 “총장 재임 시절 소통 부재와 권위적 행태로 평화의 소녀상 건립과 한밭대 통합 추진이 좌초됐다”고 비판했다. 양 교수는 “민주적 리더십 부재, 무능, 불통의 표본이었다”고 강하게 성토하며 “임상도 5영급 소나무 숲에 반도체 연구소 건설을 강행해 환경 논란까지 불렀다”고 주장했다.
진보 성향 교육단체 ‘교육대개혁 국민운동본부’는 “유·초·중등 교육 경력이 전무한 인물 지명에 허탈감을 느낀다”며, 현장 경험과 개혁 의지 부족 지적을 내놓았다. 민주노총 전국대학노동조합도 “지명 철회를 검토해야 한다”며, “적격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진숙 후보자가 설계에 관여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두고서도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대학노동조합은 “소수 거점 국립대 자원 집중이 지역 격차·지방 대학 및 재정 취약 사립대 연쇄 붕괴를 심화시킨다”고 우려했다. 해당 정책은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교육공약으로, 이 후보자가 대선 당시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위원장을 맡으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는 향후 인사청문회에서 이진숙 후보자의 경력, 교육 현장 이해, 공약 추진 방향 등 책임감을 놓고 치열한 검증공방을 예고했다. 교육계 내 첨예한 입장차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회와 정부는 인사 검증 절차와 지역 격차 해소책을 둘러싼 논의를 본격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