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세력 척결 vs 정치보복 반복”…여야, 김대중 전 대통령 추도식서 격돌
정치적 충돌 지점이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도식에서 여야 대표들 간 발언으로 재현됐다. 김대중의 정신 계승을 두고 정치권 내부 대립 구도가 형성되며, 18일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진행된 추도식장에 긴장감이 고조됐다.
이날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진보당 김재연 상임대표 등 야권과 여권을 아우르는 정치권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대통령을 대신해 참석한 대통령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추도사를 대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김대중 대통령의 삶은 혹독한 시련 속에 피어난 인동초이자 대한민국의 과거와 오늘, 미래를 지켜낸 거목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대중이 키워낸 수많은 행동하는 양심을 믿고 흔들림 없는 국민 주권 국가, 함께 잘 사는 국가, 평화가 흐르는 국가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의 회오리 속에서도 우리 공동체를 구한 것은 역사와 국민이었다"며 "모든 정치는 역사와 국민 앞에 한없이 겸손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언급하며 "한일관계를 미래 지향적으로 전환시킨 상징"이라며 일본 정치인들의 전향적 자세도 촉구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김대중이란 거인은 민주주의와 인권, 한반도 평화를 위해 평생 헌신한 지도자"라고 한뒤, "당신이었다면 진정한 용서는 완전한 내란세력 척결과 같은 것이라고 하셨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민주주의 수호 의지를 강하게 부각한 것이다.
반면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통합의 중심에 서야 할 정치가 국민 편을 가르고 정치 보복과 진영 갈등을 반복해서는 대한민국이 전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당이 야당을 상대으로 인정하지 않고 말살 대상으로 규정하는 현실에서, 특검의 야당 당사 침입 등의 상황은 김대중 대통령의 포용 정치가 재조명될 때”라고도 했다.
이날 추도식 객석에서는 "조사나 받으시라", "조용히 하세요" 등 고성이 오가며 여야 간 신경전이 장내에 적지 않은 파장을 남겼다.
참석자들은 공식 추도식 뒤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역으로 옮겨 헌화와 분향을 진행했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DJ 정신 계승을 명분으로 내세우면서도, 내년 총선과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을 추도식장까지 끌고 오는 양상을 보였다. 여야의 상반된 메시지처럼 ‘화합’과 ‘척결’의 담론 경쟁이 당분간 정국 핵심 갈등으로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