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수출 관세만 연 33억달러”…울산,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산업 타격 전망
정치권이 관세협상 타결에 따른 지역 산업 타격 문제를 놓고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한미 관세협상 결과 울산의 대미 수출에 연간 33억달러의 관세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주요 산업도시 울산은 자동차, 조선, 철강 등 전통적인 수출산업이 집중돼 있어 이번 관세 인상의 여파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가 1일 발표한 ‘한미 관세협상 주요 내용 및 울산 수출 영향 브리프’에 따르면, 올해 울산의 대미 수출은 234억달러로 전체의 26.6%를 차지했다. 미국은 울산의 1위 수출국이며,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조선, 철강 등이 대표적 수출 품목이다.

보고서는 특히 지난해 150억달러 규모로 대미 수출 1위를 차지한 자동차 부문이 추가로 15% 관세를 적용받게 돼, 연간 22억5천만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동차산업은 이번 협상 결과 일본, 유럽과 동일한 조건에 놓이게 되면서 가격경쟁력에서 비교우위가 소멸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또한 건전지·축전지 부문에서는 14억달러 수출에 대해 2억1천만달러, 자동차 부품 9억9천만달러에는 1억5천만달러의 추가 관세 비용이 예상됐다. 철강·알루미늄에는 50%의 품목 관세가 유지돼 지난해 실적의 절반가량을 관세로 부담하는 상황이다. 반면 항공유는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분류돼 직접적 관세 부담은 없지만, 향후 국제유가와 환율 변동이 주요 리스크로 지목됐다.
정치권과 산업계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효과가 약화되면서 지역 주력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다만 보고서는 조선업의 경우 중국 선박·선사에 대한 미국 입항수수료가 10월부터 부과되며 1천500억달러에 달하는 조선협력펀드가 조성돼 일부 반사이익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환경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됐지만, 관세장벽이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아 리스크가 상존한다”는 현장 목소리도 이어졌다.
장기적으로 산업계 안팎에서는 관세 부담이 제품 가격과 수출물량에 미치는 여파를 면밀히 지켜보며, 신시장 개척과 공급망 재편 등 대안 마련을 촉구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한편 울산을 비롯한 수출비중이 높은 지역에서는 관세 인상 파장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 정치권과 정부에 특단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신시장 진출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