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김범수·조현상 등 대기업 최고경영진 줄소환”…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공천개입 전방위 압수수색
정치

“김범수·조현상 등 대기업 최고경영진 줄소환”…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공천개입 전방위 압수수색

최유진 기자
입력

정치권을 뒤흔든 김건희 여사 관련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이른바 '집사게이트' 의혹에 연루된 대기업 경영진에 대해 전격 소환을 통보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를 비롯한 주요 증권·모빌리티·건설사 고위 인사가 포함되면서 재계와 정치권 모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오정희 특별검사보는 7월 14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집사게이트 사건의 실체를 신속히 규명하고 증거 인멸을 방지하기 위해 관련 사모펀드에 184억원을 투자한 기관 및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에 대한 소환 조사를 이번주부터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1차로 한국증권금융, HS효성, 카카오모빌리티, 키움증권 등 네 개 기업에 소환 통보를 마쳤고,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와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에게 17일 오전 10시 출석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들은 참고인 신분이나, 조사에 따라 피의자 전환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특검은 그간 베트남으로 출국해 잠적한 '집사' 김모씨와 배우자 정모씨에 대해 "지금이라도 즉각 귀국해 수사에 협조하기를 바란다"고 공개 촉구했다.  

'집사게이트'는 김씨가 설립에 관여한 렌터카 업체 IMS가 김건희 여사와의 친밀관계를 배경으로 적정성 논란에도 불구, 카카오모빌리티 등에서 약 18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는 의혹을 지칭한다. 이 자금 중 일부가 차명회사 의심을 받은 이노베스트코리아 지분 매입에 쓰인 정황이 드러나면서, 궁극적으로 김씨 측에 대기업 자금이 과도하게 흘러든 구조 아니냐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특검팀은 김여사 측 자금 로비 가능성 등까지 다각도로 수사를 확대 중이다.

 

공천개입 의혹 수사 역시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제22대 총선 당시 김건희 여사가 김상민 전 검사를 경남 창원 의창에 출마시키려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 관련 자료 확보를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했다. 앞서 이달 8일에는 김영선 전 의원 창원 자택, 김상민 전 검사 주거지 등을 강제수사했으며, 조만간 이들에 대한 소환도 이뤄질 전망이다.

 

오정희 특검보는 더불어, 삼부토건 주가조작 핵심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영장도 이날 청구할 예정임을 밝혔다. 구속 대상은 이응근 전 대표, 오일록 대표, 정창래 전 대표, 조성옥 전 회장, 이일준 회장 등 최근 잇따라 소환된 전·현직 주요 인사들로 확인됐다.

 

특검은 이날 오전부터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 국토교통부 장관실, 한국도로공사 설계처, 동해종합기술공사, 경동엔지니어링 등 전국 10여 곳을 동시 압수수색했다. 오 특검보는 "압수물 분석과 함께 신속하게 관련자 소환조사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치권에선 이번 줄소환 및 압수수색이 정치적 파장으로 번질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여당에선 수사의 공정성과 절차 준수를 강조하고 있으며, 야당은 "권력형 게이트의 본질이 명확해지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검팀의 행보에 따라 대기업과 정치권을 가로지르는 권력형 비리 수사가 본격화될지 주목된다.  

정부는 수사 결과와 별개로 정치적 책임 공방에 대해 신중히 대응할 것임을 시사했으며, 국회는 해당 사안과 관련한 감사 및 특위 논의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특검#김범수#집사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