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하면 1000만원”…유한양행, 저출산 해결 동참 → 바이오업계 복지 경쟁 주목
출산 지원금 등 임직원 복지 강화가 바이오 업계의 새로운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대표 제약사 유한양행이 지난해 임직원 출산 지원금으로 6억5000만원을 지급하는 등 저출산 극복 행보가 주목된다. 유한양행이 밝힌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8월 도입된 출산지원 제도를 통해 같은 해 임직원 출산 65건에 1000만원(쌍둥이 2000만원)씩 지원해 총 6억5000만원에 달하는 규모의 금액이 직원들에게 돌아갔다. 2023년 8월부터 2025년 3월까지는 총 148건, 12억9000만원의 지원금이 실제로 집행됐다.
이번 출산 지원금 제도는 단순 복지 차원을 넘어 산업계 내 저출산 해결 및 맞벌이 가정의 부담을 완화하려는 구조적 정책이다. 유한양행은 근본적으로 임직원이 자녀 1인당 1000만원을 받는 파격적 지원을 내세우며, 쌍둥이 출산 시 2000만원을 지급해 가족친화 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여성 임직원의 임신·출산기 근무 환경도 개선했다.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시 대체인력을 정식 채용해 업무 공백을 줄였고, 모유 수유실·직장 어린이집·임산부 전용 주차장 등 맞춤형 복지도 제공 중이다.

휴가 정책 역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출산 직후 단태아는 90일(유급 60일), 다태아는 120일(유급 75일) 휴가를 인정한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유급 20일, 유·사산 휴가는 최대 90일까지 보장된다. 근로시간 단축은 임신 초기(12주 이내)와 후기(32주 이상)에 하루 2시간(유급)이 가능하거나,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이라면 주 5~25시간 단축 근무를 선택할 수 있다.
국내 주요 대기업 가운데 출산 축하금 규모와 맞춤형 복지 수준이 업계 최상위에 속한다는 점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다른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도 적극적 복지 정책 강화에 나설 가능성에 시선이 쏠린다. 선진국 바이오 기업들 역시 다양성, 가족친화, 여성 인재 확보를 앞세워 맞춤 정책을 확장하는 만큼, 글로벌 인재 경쟁력이 좌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장기전에 들어선 가운데, 민간 기업 주도의 생활밀착형 복지 확대는 산업계 전체에 파급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출산 지원 등의 인사정책이 실제 고용안정과 기업 생산성으로 연결될지, 실효성 검증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복지 지원책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