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9·2 노정합의 이행 촉구”…보건의료노조, 국회에 전면 총파업 경고
정치

“9·2 노정합의 이행 촉구”…보건의료노조, 국회에 전면 총파업 경고

최유진 기자
입력

의료 현장을 둘러싼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2021년 정부와 맺은 ‘9·2 노정합의’의 이행을 촉구하며 24일 전면 총파업 가능성을 천명했다. 여당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만난 자리에서 의료 인력 처우 개선과 공공의료 확충 등 현안에 대한 정치권의 책임 있는 대응을 주문했다.

 

15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간담회에는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을 비롯한 노조 측 관계자들과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남인순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참석했다. 노조 측은 “9·2 합의 이행이 현 정부 들어 논의가 멈췄다”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규모 총파업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최희선 위원장은 “합의가 이행협의체라는 틀 안에서 논의돼 오다가 윤석열 정부였던 2023년 5월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합의가 제대로 이행됐다면 인력배치 기준이 마련되고, 공공의료도 확대됐을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했다. 또한 “코로나 3년 반, 의정 갈등 1년 반을 보내면서 5년 동안 현장에서 버텨왔다”며 “새 정부가 확실히 해결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주민 위원장은 “정부와 국회가 풀지 못하고 쌓았던 의료 현장의 문제와 어려움이 많다”며 “국민 건강과 안전이 보다 더 잘 챙겨지는 사회를 만들겠다. 책임 있게 듣고 움직이겠다”고 밝혔다. 남인순 의원도 “보건의료 현장은 국민의 생명을 다루는 만큼 파업 이전에 민주당이 문제 해법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했다.

 

정치권은 9·2 합의의 실효성 논란과 더불어 의료 인력 문제,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등 현안에서 노정 간 충돌이 반복되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한편, 노조의 총파업 경고와 집단행동 가능성에 정부·여당은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의료 공백이 현실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국회는 이번 주 복지위 회의를 통해 정부의 입장과 이행 계획을 다시 점검할 예정이며, 양측의 입장차가 좁혀질지 정치권의 중재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건의료노조#박주민#9·2노정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