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대구센터 이전 본격화”…정부, 4주 내 복구 현실적 한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한 정부 시스템 장애 복구 작업이 예상보다 장기전 양상으로 전환되고 있다. 정부는 직접 피해를 입은 7·7-1전산실 소속 시스템 중 대구센터로의 이전 대상 20개를 우선 선정해 복구에 나섰다. 그러나 데이터 회수 및 신규 장비 설치 등 엔지니어링 공정이 겹쳐, 당초 내세웠던 4주 내 복구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대국가 IT 인프라 복원력과 다중화 전략 검증의 분기점으로 지목하고 있다.
13일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7-1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임을 재확인하며, 대구센터로 이전대상 20개를 우선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소관부처 협의를 통해 이미 이전을 개시했고, 향후 협의 결과에 따라 대상은 증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불에 직접 노출되거나 연계성이 낮은 신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옮기고, 일부는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재배치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특히 복구 작업은 분진제거, 전력공사와 신규 장비 설치, 데이터 정밀 복원 등 복수 공정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다. 대구센터 이전 불가 시스템은 대전 5, 6전산실 내 신규 장비에 옮겨 순차 복구하고, 기존 8전산실은 지난 11일 전기공사가 마무리돼 재가동에 들어갔다. 김 차관은 “7전산실 장비 활용도가 높아 즉시 복구가 어렵고, 장비·데이터 복원이 최우선 과제”라며 절차상 병목을 시사했다.
13일 15시 기준 전체 709개 중 264개 시스템만 복구 완료됐으며(복구율 37.2%), 7-1전산실 등 피해가 큰 일부 시스템은 복원 소요가 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등급 시스템 기동률은 75%, 2등급은 51.5%로 아직 완전 정상화와는 거리가 있다.
글로벌 대형 데이터센터 사례와 비교해볼 때 사고 즉시 타 센터 이관, 클라우드 백업, 재난 복원 체계가 분산 운영되는 것이 최근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국내 행정망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다중화·모듈화 전략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관리원 내부 시스템 재설계, 백업체계 강화, 재난 모의훈련 등 정책적 후속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주말 추가인력 투입, 제조사 엔지니어 동원 등 복구 속도전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김민재 차관과 이재용 정보자원관리원장은 “초기 4주내 복구 목표는 데이터 복원 중 추가 조정 중”이라고 밝혔다. “평균적 기간 산정임을 감안하고, 현장 장비 반입 일정이 변수”라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IT 인프라 복원력, 국가 통합 백업체계 수립이 향후 유사 재난 발생시 ‘퍼즐 조각’이 될 것으로 분석한다. 산업계는 비상시 국민서비스 중단 최소화, 시스템 다중화가 실제 정책에 녹아들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