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끊임없는 北 도발의 증인”…한미동맹재단, 휴전 이후 전사한 주한미군 103인 공훈록 발간
정치

“끊임없는 北 도발의 증인”…한미동맹재단, 휴전 이후 전사한 주한미군 103인 공훈록 발간

조현우 기자
입력

북한의 지속적인 적대행위를 둘러싸고 한미동맹재단과 주한미군전우회가 주한미군 103명의 이름을 새긴 공훈록을 발간한다. 한국전쟁 이후 끊이지 않은 북측 도발과 이에 맞서 싸운 주한미군 희생의 역사가 재조명되고 있다. 한미 양국의 안보 동맹을 상징해온 주한미군의 헌신과 희생이 다시금 한국 사회의 기억 속에 소환되고 있다.

 

한미동맹재단과 주한미군전우회는 18일, 6·25전쟁 이후부터 최근까지 북한군의 적대행위로 전사한 주한미군 103명의 이야기를 담은 공훈록을 연말 발간한다고 밝혔다. 공훈록에는 1968년 1·21 청와대 습격 사건 당시, 총격전 끝에 18세의 나이로 전사한 미 2사단 72기갑연대 소속 살바도르 모히카 이병, 1974년 11월 유엔군사정전위원회 조사단원으로서 땅굴 수색 중 부비트랩 폭발로 순직한 로버트 벨린저 해군 중령, 1976년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희생자인 아서 보니파스 소령 등 대표적인 사례가 포함됐다.

양 단체는 이날 “우리 국민은 북한 도발로 주로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을 떠올리지만, 1953년 정전 이후에도 북한의 도발은 멈춘 적이 없다”며 “공훈록 발간을 통해 휴전 이후에도 이어진 주한미군의 희생과 헌신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전했다. 실명과 공적은 올해 말 전쟁기념관에 건립될 주한미군 전사자 추모비에도 새겨질 예정이다.

 

정치권에서도 한미동맹의 역사적 의미와 함께, 주한미군의 지속적인 헌신에 대한 평가가 뒤따르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미 연합방위체제의 실제적 의미를 전달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일부 전문가는 “북한의 도발에 맞선 주한미군의 희생은 한미동맹의 실질 기반”이라고 분석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남북 긴장 상황과 함께 동맹 가치의 재확인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올해 후반기 전쟁기념관에 추모비와 함께 공훈록 전시를 추진하며, 동맹 차원의 역사교육 및 기념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미동맹재단#주한미군#북한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