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야”…이재명 대통령, 대일 협력 확대 의지 밝혀
과거사 문제와 협력 확대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이견이 부각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두고 대일 외교 원칙과 현안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일본 아사히, 마이니치, 닛케이, 산케이 신문 등과의 공동 서면 인터뷰에서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해나가자는 것이 저와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원칙"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본 출국 전 공개된 인터뷰에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며,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의 의미를 환기했다. 그는 "한일 관계에는 대립과 협력, 공존의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며 "어떤 나쁜 측면 때문에 유익한 면까지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한 "이번 방일이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역내 평화 및 안보,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공조 방안을 의견 교환하겠다"고 덧붙였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이 대통령은 "진실과 감정의 문제라 사실 인정과 진심 어린 사과, 위로가 중요하다"면서도 "문제에 매몰되기보다 서로 존중하며 실익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와 관련해선 신중한 입장도 내비쳤다. 이재명 대통령은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며, 국민 정서를 우선 고려하겠다고 언급했다. 같은 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도 도쿄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국민 우려나 국익에 저해되는 부분은 최대한 국익에 맞고 국민의 이해관계에 어긋나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양국이 상호 호혜적 관계로 나아가고자 하지만, 오해 가능성에 대해서는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고 부연했다.
일본의 관심인 납북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깊이 공감한다"며 "인도주의 차원에서 꼭 해결돼야 할 사안"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북한 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하려면 대화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여 북일 대화 재개 필요성도 시사했다.
협력 확대의 구체 전략으로 이재명 대통령은 한일 '셔틀 외교' 복원을 시동으로, 한미일, 한일중, 아세안+3,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 다자·소다자 채널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했다. 동아시아와 태평양 연안국 경제협력 기구 구축 논의도 언급됐으며,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가입 가능성도 거론됐다.
이날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치권은 수산물 수입, 과거사 해법 등 양국 현안이 본격 의제가 될지 주목하며, 양국 협력의 실질적 진전 여부와 국내 여론 반영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정부는 앞으로도 한일 관계에 있어 국민 신뢰와 국익의 원칙을 견지하면서, 미래지향적 외교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