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밥상 민심 흔들”…여야, 생활물가 공방 속 정쟁 격화
생활물가 상승과 민생정책을 둘러싼 공방이 추석을 하루 앞둔 정치권 갈등의 불씨로 번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5일, 심화된 밥상 물가 부담을 책임 소재로 맞대응하며 정쟁을 거듭했다. 정치권의 책임 공방에 국민들은 피로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정쟁을 위한 ‘발목잡기’ 정치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 박지혜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국민의힘은 정쟁을 위한 마구잡이식 ‘발목 잡기’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지혜 대변인은 또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명절 인사를 통해 ‘국민 통합’과 ‘성장 회복’이라는 민생정책 방향을 제시했다”며 “대통령의 의지에 국회가 반드시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갈등의 정치를 넘어 국민을 위한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야 하며, 국정 안정과 책임의 정치만이 국민의힘이 공당으로 거듭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국민의힘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추석을 앞두고 서민 식탁 전반의 물가가 폭등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정부와 민주당의 정치적 책임을 강하게 주장했다. 이어 “시장경제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민생쿠폰과 같은 포퓰리즘 정책이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실제 9월 소비자물가 동향(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고 식품 중 빵(6.5%), 커피(15.6%),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 생활밀착 품목 가격이 크게 올랐다.
한편 여야는 ‘물가 안정’ 해법을 두고도 평행선을 달렸다. 민생경제 앞에서 정치권의 경쟁적 책임 공방이 치열해지면서, 물가와 서민생활을 둘러싼 민심 불안이 정국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국회는 10월 임시국회에서 추가 대책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