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틀외교 재개는 한일관계 정상궤도 신호”…이재명 대통령, 日과 정책협의체·대북 공조 강조
정치적 협력의 전선에서 대한민국과 일본 정상 간 셔틀외교가 재개되는 등, 이재명 대통령이 대일관계 정상화와 협력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저출산·안전 등 양국이 공유하는 문제를 비롯해 경제, 대북정책까지 포괄 협의한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한미일 협력 구도가 가속화될지 주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뒤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한일 정상은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 흔들림 없는 한일·한미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며 “한일관계 발전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일 양국이 “서로에게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력할 최적의 파트너”임을 거듭 강조했다.

이번 회담은 양국 정상 간 17년 만의 공동문서 발표이자, 대한민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양자 방문국으로 일본을 선택한 첫 사례다. 이재명 대통령은 “기존 관행에서 탈피해 국익 중심 실용외교와 미래지향적인 상생협력을 실천하겠다”고 밝히며 의미를 부여했다.
양국은 경제를 비롯한 다각적 협력을 논의했다. 수소와 인공지능 등 미래산업에서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긴밀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으며,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 농업, 재난안전 등 공통 사회 문제에도 공동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국 간 협의체를 출범시켜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함께 찾겠다”고 설명했다.
안보 분야에서도 공조가 강화됐다. 양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구축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정책에 대한 긴밀한 협조를 지속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경제협력, 사회문제 공동 대응, 안보 공조 등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한일중 정상회의 성공적 개최로 연결되는 전략적 흐름을 함께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셔틀외교 재개 및 실용외교 원칙을 내세운 이번 한일정상회담에 주목해왔다. 여야 모두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과거사 문제와 미래지향적 협력 간 균형 필요성도 강조하는 분위기다. 실제 일본 측과의 합의에 첨예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만큼, 논의의 구체화 과정에서 정무적 긴장감이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을 계기로 양국 정상의 셔틀외교가 재개된 것”이라며 “신뢰를 토대로 국민 간 진정한 신뢰의 여정도 시작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은 양국의 ‘협의체 출범’이 공식화됨에 따라, 향후 구체적 실천방안을 놓고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