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정자원 20개 시스템 대구 이전”…정부, 대전센터 화재 복구 본격화

강다은 기자
입력

국정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멈춘 국가 주요 시스템 복구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가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주요 시스템 20개를 대구센터로 이전 대상으로 확정하고 즉각적인 이전에 착수했다. 대규모 인력 투입과 장비 수급을 병행해 시스템 복구율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기관 사이 협업과 민간 클라우드 활용도 병행해 안정성 확보에 나섰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복구 계획이 ‘클라우드 이전 및 재난 복구 체계’의 시험대로 작용할지 주목하고 있다.

 

지난 13일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현 시점 대구센터로 이전할 시스템 20개를 확정했다”며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 및 각 부처와 조율 절차를 마치고 이전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 7층 7-1전산실의 최소 96개 시스템이 완전히 소실된 가운데, 장비 수급과 이설 방식에 따라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 또는 대구센터로 단계적 이전이 진행된다.

기술적으로는 신규 장비 설치와 데이터 복구를 병행해 안전한 서비스 이전이 관건이다. 5층과 6층 전산실에는 신규 서버 등 장비가 설치 완료되었고, 8전산실도 분진 제거 및 전기 재공급 조치가 신속하게 마무리됐다. 이번 절차는 기존 전산실 내 장비 일부가 화재로 즉시 복구가 어려운 점을 감안, 분산 복구와 순차적 데이터 이전을 병행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이 ‘동일 센터 내 수평 확장’과 ‘타 지역 센터 이중화’ 전략의 실제 효과를 가늠할 기회로 보고 있다.

 

복구율 제고가 과제로 떠오른 현재, 12시 기준 전체 장애 시스템 709개 중 260개가 복구를 마쳤다. 등급별로는 1등급(핵심)의 75%(40개 중 30개), 2등급은 51.5%(68개 중 35개) 수준이다. 정부는 이번 주말까지 제조사 인력 80여명을 추가 투입, 기존 700여명 복구 인력과 함께 신속한 서비스 정상화에 나서고 있다. 환자 의료 기록, 공공 서비스, 민원·행정 처리 등 국민 실생활과 직결된 시스템에 대한 복구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관측이 많다.

 

국내 주요 IT센터 재난 복구 방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화재 등 비상 사태에 대비해 다중 백업과 미러링, 클라우드 연계 방안 등을 모색해왔으나 이번 사고를 계기로 ‘실행형 BCP(업무연속성계획)’ 전환이 필요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이나 유럽은 주요 정부 정보센터에 대해 원거리 이중화와 재해복구(DR) 체계를 단계적으로 법제화해 데이터 안전망을 확보하고 있다.

 

복구 절차에서 데이터 무결성, 이관 과정의 보안 문제, 민간 클라우드 활용 시 신뢰도 확보 등도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는 화재 무관 전산실(2~4층 1~6전산실)은 이미 지난 5일 복구를 완료했으며, 앞으로도 국민 불편 해소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 IT 인프라의 물리적·논리적 안전망에 대한 점검과 제도적 보완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다고 바라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과 복구 전략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국정자원관리원#대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