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틱AI로 보안진화”…이글루코퍼레이션, SOC 자동화 전략 본격화
보안 특화 인공지능(AI) 기술이 기업의 정보보안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17일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어(AiR)’의 대규모 업데이트를 발표하며, 보안운영센터(SOC) 자율화 전략에 박차를 가했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에이전틱 AI 경쟁”의 본격점화로 보고, 향후 국내 보안 산업의 변곡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이 공개한 ‘AiR’는 대형언어모델(LLM)과 보안 업무 프로세스를 결합한 AI 에이전트형 플랫폼으로, 탐지·분석·검색 등 다양한 보안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업데이트로 추가된 ‘챗봇 에이전트’와 ‘분석 에이전트’는 각각 소형언어모델(sLLM)과 검색 증강 생성(RAG) 기법을 적용해, 실시간 보안 질의 응답과 대용량 로그 분석·심층 검증을 자동화했다. 특히 기존 SOC 방식의 인력 집중 한계를 극복할 솔루션으로, AI가 담당자의 분석·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챗봇 에이전트’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맞춤형 보안 정보를 제공하며, ‘분석 에이전트’는 방화벽·웹 로그 등 비정형 대량 데이터를 신속히 분류·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sLLM 기반의 프롬프트 최적화와 결합식 응답 구조로 기존 일반 챗봇 대비 전문성과 정확도가 강화된 점이 돋보인다. 해당 기능은 실제 보안 담당자 업무의 부담을 경감하고, 실질적 대응 속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계적으로는 보안 AI 플랫폼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미국의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로알토네트웍스 등은 이미 AI 에이전트 활용을 확대하며 SOC 자동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국내 기업 중 ‘에이전틱 AI’ 기반 보안 운용 체계의 초기 상용화를 선언하며 글로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셈이다.
규제 측면에서는 AI가 직접 보안 분석·결정을 내리는 자율 시스템에 대해 국내외 인허가·표준화 논의가 시작 단계다.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과의 정합성·투명성 확보가 과제인 동시에, AI의 의사결정 과정 해설(Explainability) 확보가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오늘날 조직은 제한된 인력과 자원으로 급증하는 위협에 대응해야 한다”며 “에이전틱 AI가 보안 조직 효율화는 물론 산업 경쟁력의 핵심 전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에서는 엔드-투-엔드 자율 보안 솔루션 상용화가 실제 시장 전환의 신호탄이 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술과 시스템의 동반 진화가 새로운 지배 조건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