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 장애”…김민석 총리, 신속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 강조
정부 전산시스템이 집적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전국적으로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신속 복구를 지시하며 정부 차원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강조하고 나서면서, 전산망 안전성에 대한 우려와 정치권 책임론도 확산되는 양상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불편을 겪으실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신속한 복구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상황을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다수 정부 행정 서비스가 마비된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히 열렸다.

김 총리는 “국가의 중요한 전산 시스템이 한곳에 밀집된 시설 특성상 화재 진압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세종과 대전 정부 부처 내부 전산망이 마비됐고 부처 홈페이지 접속도 원활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서비스에 장애가 있는지, 언제까지 복구가 이루어질 것인지 구체적이고 신속히 알리겠다”며 국민과의 소통을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총리는 “부처 관계자나 장관들이 현 상황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모바일 신분증 등 필수 행정 서비스에 장애가 있다면 관련 정보를 즉시 국민에게 안내하라”고 지시했다. 행정안전부 장관에게는 각 부처가 보다 긴장감을 갖고 상황을 인지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재차 주문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전산 시스템의 집중화와 비상 대응 체계 미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김 총리는 “화재 발생 경위, 대응 과정, 전산망 백업 체계 등 비상 대책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점검하고, 제도적으로도 반드시 개선·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에 철저히 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화재는 전날 오후 8시 20분께 국정자원 내 무정전 전원장치(UPS)실 리튬배터리에서 발생해 약 9시간 50분 만에 초진됐다. 이로 인해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정부24 등 70개에 달하는 정부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하고 위기경보수준도 ‘심각’ 단계로 조정하며 대응 수위를 높였다.
정부는 화재의 원인 조사와 함께 신속한 행정 서비스 복구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향후 전산망 이중화, 백업 시스템 강화 등 제도적 보완에 나설 계획이라는 점도 시사했다. 정치권은 정부 책임론과 재발 방지 방안 마련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