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호르몬 주사 처방액 1500억 돌파”…중대 부작용·불법 광고 급증
성장호르몬 주사가 국내에서 전례 없는 처방액 증가세를 보이며 신체 성장 관련 바이오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지난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는 162만여건, 처방액은 1592억5400만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1500억원을 돌파했다. 이는 2020년 597억원 대비 2.6배, 처방 건수로는 1.8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업계와 의료계에서는 이번 결과를 ‘성장호르몬 바이오 의약품 시장 급팽창’의 신호로 해석한다.
성장호르몬 제제는 주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분비장애, 특발성 저신장증, 터너증후군 등 소아의 성장 관련 질환 치료에 투여되는 전문 바이오 의약품이다. 해당 약물은 DNA 재조합 기술로 생산돼, 투여 시 성장호르몬 결핍 환자의 신체 성장 촉진에 실질적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상인에게 장기간 과다 투여되면 거인증, 말단비대증 등 심각한 부작용이 동반된다”며 오남용 위험성을 지적한다. 실제 지난해 성장호르몬 관련 부작용 신고는 1809건, 중대 부작용도 165건에 달했다. 이는 2020년 9건과 비교해 18배 이상 급증한 규모다.

이러한 시장 확대와 더불어, 온라인을 통한 무분별한 광고와 불법 판매도 우려를 키운다. 성장호르몬 제제의 온라인 불법 광고 적발 사례는 2021년 2건에서 2023년 8월 기준 111건으로 폭증했다. 실제 안전성 검증을 거치지 않은 제품의 무분별 확산, 의사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경로가 확대되면서 환자와 소비자 모두 건강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는 경고도 이어진다.
글로벌 시장 상황과 비교하면, 미국과 유럽 등 주요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도 성장호르몬 처방은 엄격한 의료기준과 의사 감독하에 이뤄진다. 각국 규제기관은 성장촉진 치료에 대한 철저한 적응증 관리와 OTC(일반의약품) 불법판매 단속 등 규제 강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식약처와 복지부가 유통 관리 및 의료 윤리 기준 강화에 나설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재 국내 정책상 성장호르몬 제제는 엄격한 전문의약품으로 관리되지만, 처방 건수와 부작용, 온라인 불법판매 증가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법 제도 개선이 강조된다. 데이터 보호, 소비자 교육, 광고 규제 강화, 의사-약사-환자를 포함한 다자간 관리 체계가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업 성장 속도에 맞춰, 안전성과 윤리 기준을 체계적으로 재정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성장호르몬 주사 시장이 실제 환자 중심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