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제약에도 가상화폐 동맹”…파키스탄·엘살바도르, 신흥시장 협력 강화에 주목
현지시각 기준 17일, 엘살바도르(San Salvador)에서 파키스탄(Pakistan)과 엘살바도르(El Salvador)가 외교 관계 수립과 동시에 가상화폐 및 디지털 자산 협력 확대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신흥시장 양국이 IMF 차관 조건과 국제 규제 압박 속에서도 자체적인 가상화폐 생태계 확장에 나선 모습이 글로벌 금융계를 주목하게 하고 있다.
현지 시각 17일 오전, 빌랄 빈 사키브 파키스탄 가상화폐협의회 회장 겸 총리 특별보좌관은 엘살바도르에서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을 만나 양국 간 외교 관계를 공식화했다. 이 자리에서 양국은 가상화폐 인프라와 정책 노하우 교류, 비트코인 채굴 및 저장 인프라에 대한 정보협력 등 디지털 자산 분야 실질적 협력에 뜻을 모았다. 파키스탄은 이미 약 1,500만~2,000만 명에 달하는 가상화폐 보유 인구를 바탕으로 비트코인 채굴용 2,000MW 전력 배정, 국립 비트코인 저장소 건립 등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엘살바도르는 2021년 9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지정하는 파격적 정책을 시행했다. 현재 시가 7억 4,500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까지도 정부 차원의 추가 매입에 나서는 등 가상화폐 국가화 전략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두 나라는 각각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대규모 차관을 도입한 상태로, IMF의 가상화폐 관련 정책 제약을 받고 있다. 파키스탄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70억 달러 차관 조건에 맞춰 관련 정책에 속도를 조절해야 하는 처지이며, 엘살바도르 역시 IMF와의 협상에서 ‘가상화폐 매입 중단’이 공식 의제로 논의됐지만 실질적 정부 정책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파키스탄과 엘살바도르의 ‘IMF 압박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 분야 협력과 시장 확대에 나선 움직임에 대해, 미국(USA) 등 주요국 정책 방향 전환과도 맞물린 해석이 나온다. 시장 전문가들은 “IMF 통제 하 신흥시장에서도 디지털 자산 부문의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은 “이번 합의는 글로벌 디지털자산 지형 변화의 신호탄”으로 분석했다.
향후 파키스탄의 대형 비트코인 저장소 건립, 엘살바도르의 추가 대형 매입 등 정책이 실제 시장 가격과 투자 수요, 국제 규제 대응에 어떤 영향을 줄지 이목이 쏠린다. 이번 합의가 신흥국 가상화폐 시장 확대의 분기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IMF 제약과 시장 변동성 등 위험 요소가 크지만, 양국 협력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외교의 새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 관련 정책과 시장의 방향성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