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최고 책임자 첫 사과…” 강훈식, 이재명 대통령 이태원·오송 참사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의 공식 사과를 두고 정치권 안팎에서 진한 감정의 파장이 감돌고 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16일, 이 대통령이 이태원·오송 지하차도 참사 희생자 유족에게 고개 숙여 사과한 데 대해 “비서실장이 아닌 무기력했던 국민 한 사람, 죄책감에 잠들지 못했던 시민 한 사람이 돼 울컥했다”고 밝혔다. 피해자 유족에 대한 대통령의 첫 공식 사과가 이뤄지면서, 정책적 실천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이날 자신의 X에 올린 글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사과를 '국정 최고 책임자의 첫 사과'라고 표현했다. 이어 “치유와 회복으로 이끄는 이 한마디가 그동안 왜 그리 힘들었을까”라고 자문하며, 그간 쌓여온 사회적 응어리와 무거운 책임감을 토로했다. 그는 "간담회 장소에 들어서면서 여전히 죄스러운 마음에 모신 분들을 바라보기가 어려웠다"고 심경을 전했다. 그러면서 "기억하고, 성찰하고, 나아가야만 우리 공동체의 응어리를 조금이나마 풀 수 있을 것이다. 반드시 정책으로, 실천으로 풀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다시는 상복 입은 유가족이 거리로 나서지 않는 나라, 어떤 이익과 비용도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우선하지 않는 나라,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일상을 누리는 나라, 함께 만들어 가자"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사과를 계기로, 치유와 회복의 여정을 정책과 제도로 이끌어야 한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세월호, 이태원, 무안 여객기, 오송 지하차도 참사 희생자 유족 200여 명을 초청했다. 이 자리에서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직접 고개 숙여 사과했다. 정부가 이태원 참사 및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해 유족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치권은 대통령의 공식 사과를 계기로 참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치유 노력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또한, 유가족 지원과 안전사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둘러싼 논의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향후 유족 지원 시스템 강화와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추가 대책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