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특검, 윤한홍 소환 통보”…건진법사 청탁의혹 파장 확대
정치적 충돌 지점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건희 여사의 의혹을 겨냥한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건진법사 청탁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 소환을 통보하며 여야 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다. 특검팀의 윤 의원 참고인 소환 통보는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2022년 지방선거 전후로 여권 인사들과 청탁 정황이 집중적으로 제기된 시점과 맞물려 파장이 커지고 있다.
특검팀은 최근 윤한홍 의원에게 참고인 신분으로 특별검사 사무실에 출석할 것을 요구했다고 17일 밝혔다. 하지만 윤 의원 측은 특검이 지정한 출석일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소환은 2022년 6·1 지방선거를 전후로 전성배씨가 브로커들을 통해 지방선거 공천 희망자의 이력서를 수집해 윤 의원 등 여권 핵심 인사들에게 전달했다는 의혹에 근거하고 있다.

실제 전성배씨가 당시 이력서를 건넨 후보 5명 중 4명이 최종적으로 지방선거에 당선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선거 과정의 청탁 및 영향력 행사 가능성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검팀은 전씨가 유력자들로부터 기도비 등 명목으로 금전 거래를 한 뒤 각종 청탁을 연결하는 '정치·법조 브로커'로 활동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검은 법조계와 정치권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소환 조사를 예고하며 강도 높은 조사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정치권에서는 특검 소환 통보를 두고 여야의 견해가 엇갈린다. 여당 내부에서는 무리한 정치적 의도가 깔린 수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반면, 야권은 "국민적 의혹 해소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엄정 수사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안이 윤석열 정부의 도덕성 논란과 맞물리며 정국 불확실성을 키우는 모습이다.
정치전문가들은 이른바 '청탁성 브로커' 개입 의혹이 내년 총선 정국에서 변수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평가한다. 특검 수사 결과에 따라 윤한홍 의원 및 여권의 정치적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한편 해당 사건 여파는 추후 국민의힘 공천 시스템 검증, 정치권 인사 관리 체계 논란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특검팀은 향후 윤한홍 의원 소환 일정을 재조율하는 한편, 전성배씨 등 연루자 조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정국은 건진법사 청탁 의혹을 둘러싸고 또 다른 진실 공방전 양상으로 치달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