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전기 경상용차 시장 부진 경고”…목적기반모빌리티 도입 확산→전환점 모색
자동차

“전기 경상용차 시장 부진 경고”…목적기반모빌리티 도입 확산→전환점 모색

오태희 기자
입력

국내 전기 경상용차 판매량이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며 산업의 성장 동력에 적신호가 켜졌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기 경상용차 판매 실적은 2만1천 대로 전년 대비 52퍼센트나 줄어든 수치를 기록했다.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1톤 전기트럭의 낮은 주행거리, 열악한 충전 인프라와 이에 따른 LPG 트럭으로의 수요 이동, 미흡한 전기 승합차 시장 기반 등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의 흐름과는 뚜렷이 대조적이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 경상용차 시장은 66만 대 규모로 전년보다 40퍼센트 넘게 성장했다. 그중에서도 중국이 45만 대에서 90퍼센트 가까운 성장률로 시장을 견인했으며, 미국 역시 2만6천 대 판매로 전년 대비 55퍼센트의 성장세를 보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유럽은 11만7천 대로 오히려 10퍼센트의 감소세를 보였으나, 한국 시장은 세계 3위의 미국에도 밀려 그 존재감이 크게 약화됐다.

전기 경상용차 시장 부진 경고…목적기반모빌리티 도입 확산→전환점 모색
전기 경상용차 시장 부진 경고…목적기반모빌리티 도입 확산→전환점 모색

이에 따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국내 전기 경상용차 시장의 체질 개선과 중장기 성장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기 목적기반모빌리티, 즉 PBV(목적기반모빌리티)는 친환경 상용차 시장 확대의 핵심 해결책으로 부상한다. 상용차는 전체 차량 대비 7퍼센트 비중이지만, 탄소배출 비중은 무려 10퍼센트에 달한다는 점에서 전동화의 시급성이 부각된다. 더불어, 총소유비용 측면에서도 전기 상용차의 경제성이 점차 내연기관 대비 우위를 점하는 흐름이 확인된다.

 

PBV는 자율주행 시대에 최적화된 신개념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 무인 배송, 도심 셔틀, 이동형 상점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할 수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정책적 지원, 충전인프라 보강, 국내 생산 인센티브 확대, 인증 절차 간소화 등 입체적인 지원책을 제시한다. 강남훈 회장은 PBV 보급 확대가 온실가스 감축과 대기질 개선, 그리고 국내 제조사의 글로벌 상용차 시장 경쟁력 강화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내 시장의 과감한 혁신과 장기적 투자, 정책적 동반 성장이 전기 상용차 전환의 분수령임이 확연해지는 시점이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전기경상용차#pb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