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일철·궤도, AI토피아서 지식 충돌”…미래 공존법에 가슴 뛰는 전략→한계 돌파의 여운
급변하는 기술의 맥박 속, AI의 한계와 인간의 운명은 ‘AI토피아’에서 다시 마주했다. 문일철 교수가 지식텔러로 합류하며 궤도와 함께 펼친 대화에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회와 기술, 그리고 인간적 고민이 교차했다. 방송에서는 AI가 전쟁 현장부터 제조 산업까지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깊이 있게 파헤쳤고, 드론과 자동화 로봇처럼 최첨단 기술마저도 여전히 조종 인력과 오차라는 인간적 변수 앞에 막혀 있는 현실이 생생하게 그려졌다.
이어 문일철 교수는 AI가 개별적으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서로의 목표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이해 상충이 어김없이 등장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사회의 보상이 먼저 결정된 뒤, 각 AI가 양보와 타협을 두고 딜레마에 빠지는 과정을 인간 사회와 연결지어 견고하게 설명한다. 궤도 역시 AI 간 협력, 즉 다중 에이전트 간 소통이 새로운 활로임을 강조하며, 인간과 유사한 집단적 협력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나아가 문일철 교수는 ‘중앙 집중 학습 및 분산 실행(CTDE)’ 방식이라는 혁신적 해법을 언급했다. 이는 AI가 단순히 인간의 결정을 모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만의 관점에서 협력과 양보를 학습하게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미래를 암시했다. 궤도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로서 협력의 힘을 발휘해온 역사적 맥락을 끌어와, 앞으로 AI 역시 그러한 집단 지성을 토대로 진화를 거듭해야 함을 진단했다.
결국 ‘AI토피아’는 현장 사례와 전문가 진단을 바탕으로, 인간과 AI가 어떻게 공존하고 함께 한계에 도전할 수 있는지에 주목한다.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10시 KBS LIFE와 UHD Dream TV를 통해 방송되는 이 프로그램은, 문일철 교수와 궤도의 지적 충돌과 통찰이 만들어내는 울림으로 시청자들에게 AI 시대의 해답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