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철강 쿼터 넘기면 50% 관세”…캐나다, 수입 철강 규제 강화에 업계 긴장
국제

“철강 쿼터 넘기면 50% 관세”…캐나다, 수입 철강 규제 강화에 업계 긴장

한유빈 기자
입력

현지시각 16일, 캐나다(Canada)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마크 카니 총리가 자국 철강산업 보호 및 글로벌 공급망 변화 대응을 위한 수입 철강 관세율 쿼터 강화 방침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산 등 저가 철강 제품의 우회 유입과 공급망 변동이 가속되는 가운데 캐나다 내 산업 보호와 무역 전략 변화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캐나다 정부의 새 조치에 따라, 자유무역협정(FTA) 비체결국의 철강 제품에 적용되는 관세율 쿼터는 지난해 수입량 대비 절반 수준인 50%로 대폭 축소되며, 쿼터를 넘는 수입분에는 50%의 고율 관세가 부과된다. FTA 체결국(미국 제외)도 쿼터 기준이 100%로 설정되고, 이를 초과하면 동일하게 50% 관세가 적용된다. 2014년 한·캐나다 FTA를 체결한 대한민국 역시 이번 기준의 영향을 받게 됐다. 단, 미국과 멕시코 등 USMCA 체결국은 기존 관세 체계가 유지된다.

캐나다, 수입 철강 관세율쿼터 강화…쿼터 초과분 50% 관세 부과
캐나다, 수입 철강 관세율쿼터 강화…쿼터 초과분 50% 관세 부과

이번 정책 변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USA) 전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 수입에 높은 관세를 도입한 영향을 크게 받았다. 올해 3월 미국은 관련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6월부터는 이 관세율을 50%로 상향했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밀려난 중국 등 일부국가의 저가 철강이 캐나다 등 제3국 유입 경로를 모색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과 캐나다 간의 복잡한 무역 의존 관계와도 맞물린다. 양국은 상호 보복관세를 주고받으면서도 철강·알루미늄 교역에서 밀접한 유대를 이어오고 있다. 미 국제무역청(ITA)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최대 철강 수입국은 캐나다였고(23%), 알루미늄 역시 수입 1위였다(54%).

 

카니 총리는 “캐나다가 글로벌 무역 및 공급망 변화에 적응하고 산업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속 조치를 검토·시행한다”고 밝혔다.

 

철강업계와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번 관세 조치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미국의 관세 인상 이후 중국 등 주요국의 판로 다변화가 빨라지며, 국제 철강 가격과 교역 구조의 불안정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BBC와 CNN 등 주요 외신은 “북미를 중심으로 전 세계 철강 공급망 지도에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향후 각국의 수입 규제, 관세 정책 변화와 맞물려 글로벌 철강 유통구조의 재편은 물론, 자동차와 건설 등 주요 산업의 비용 및 경쟁력에도 영향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국제 철강 시장이 무역 규제와 공급망 갈등으로 당분간 높은 변동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국제사회는 캐나다 관세율 쿼터 정책의 실제 집행과 파급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캐나다#한캐나다fta#철강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