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트럼프 즉흥 발언 대비 필요”…美 전문가들, 이재명 정상회담 대응 주문
정치

“트럼프 즉흥 발언 대비 필요”…美 전문가들, 이재명 정상회담 대응 주문

윤지안 기자
입력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적 충돌 가능성을 둘러싼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워싱턴에서 개최 예정인 이번 회담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문제 제기와 수치 착오에 이재명 대통령이 즉각 대응하는 것은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는 미국 내 조언이 나왔다.

 

스콧 스나이더 한미경제연구소 소장은 21일 세미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등 주요 사안에 대해 잘못된 발언이 있을 때 이재명 대통령이 즉시 대응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스나이더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취재진 앞에서 잘못된 방위비 수치를 거듭 거론할 경우, 회담 이후 양측의 관계자들이 정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실시간으로 정정되기를 기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그냥 둘 수도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대선 과정에서 주한미군 규모 등 자주 부정확한 수치를 언급해왔다. 스나이더 소장은 최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백악관 면담 사례를 들며 “불편한 순간 자체보다 다음 만남에서의 대응이 중요하다”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통역을 사용하는 점에서 즉각 응수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이런 점이 유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리우스 데어 한미경제연구소 커뮤니케이션부장도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이나 북한,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에서 기존 합의와 상충한 돌발 발언을 할 가능성에 대비할 것을 강조했다. 데어 부장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의 첫 한미정상회담 직후 FTA 재협상을 돌연 언급한 사례를 소개하며, “정상회담에서는 항상 예상치 못한 변수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엘렌 김 한미경제연구소 학술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발언한 내용을 실제로 행동에 옮기는 경향이 있다”며 “방위비 분담금 등 민감한 현안을 다시 꺼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중국 이슈를 주요 의제로 삼을 수 있으니, 이재명 대통령이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동맹 현대화 논의에 대해 전문가들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국방 전략이 아직 제시되지 않은 만큼, 회담에서는 개괄적 원칙 수준의 ‘공동 비전 성명’ 형식 발표가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데어 부장은 “전략적 유연성 등 민감한 사안은 앞으로 국방부와의 논의 과정에서 구체화될 것”이라며 관망론을 제시했다.

 

이처럼 한미 정상회담을 둘러싼 돌발 변수와 응수전략에 대한 전문가 조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치권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향후 한미관계와 국내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양국 정부는 회담 결과와 추가 협의 상황에 따라 협력 방향 및 외교 전략 점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한미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