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광폭 행보에 민주당 내 우려 고조”… 지도부, 자숙·성찰 주문 쏟아져
절반에 가까운 국민 반대와 국정 동력 약화 우려에도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이 강행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조 전 대표의 광폭 행보를 둘러싼 불만이 임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조 전 대표가 출소 직후 내년 선거 출마 의지 표명과 연이은 SNS 정치로 여론의 이반 흐름까지 촉발시켰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22일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 전 대표 사면이 대통령 지지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라며 “사면으로 복귀한 정치인인 만큼 신중한 행보가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주문했다. 앞서 한준호 최고위원 역시 “N분의 1 발언에 불편해하는 당내 기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 전 대표가 최근 “이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이 전적으로 내 책임만은 아니다”는 요지로 언급한 데 대한 것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내 잘못도 있지만 이 대통령과 민주당 잘못도 있다는 의미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일부 재선 의원은 “딱 2주 정도만이라도 자제를 했더라면 오히려 관심이 집중됐을 것”이라며 정무적 감각 부재를 꼬집었다.
강득구 의원은 “조 전 대표의 사면을 앞장서 요구했지만 지금처럼 출소 직후부터 ‘정치 복귀’ 메시지를 내는 건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사면 이후에는 가족과 본인 모두를 위해 성찰의 시간이 필요했다는 게 저와 국민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정권 초반 국정 과제 추진 동력이 필요함에도, 조 전 대표 사면 이슈로 이 대통령 지지율이 50% 초중반까지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친명계 중진 의원도 “사면 전에는 한 달간 자숙하겠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곧바로 움직이며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럼에도 조국 전 대표는 24일 문재인 전 대통령 예방, 25일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참배 등 굵직한 일정을 예고했다. 호남 순회 간담회와 연이은 SNS 게시를 통해 사실상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본격 돌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회는 조 전 대표의 행보와 관련해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의 신중 주문에도 조 전 대표는 메시지와 정치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어, 향후 여권 내 갈등과 민심의 향배가 정국의 또 다른 불안요인으로 부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