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후속조치 조만간 시행”…조현-랜도, 한미 공조와 관세 현안 논의
한국인 구금 사태를 둘러싸고 한미 외교 당국이 현안 해결을 위한 긴밀한 공조를 재확인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과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서 회담을 가진 가운데, 비자 후속 조치와 관세 협상에 대한 양국 입장이 오갔다.
이날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문제에 대해 미국 측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한미 비자 워킹그룹 출범 등 신속한 협의를 통해 재발 방지를 포함한 실질적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또한 이번 사태로 귀국한 한국민들이 미국 재입국시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랜도 부장관은 “당시 사태에 대해 깊은 유감을 다시 표명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 정부 내에서 최우선적 사안으로 다루도록 직접 챙기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미 비자 워킹그룹 출범과 재발방지 등 후속조치가 속도감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며 “일부 조치는 곧 시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세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한국정부의 입장을 상세히 설명하며, “상호 윈윈하는 방향으로 타당한 결과가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랜도 부장관은 “관세 협상은 양국 경제당국이 주도하고 있으나, 한국 쪽 입장이 미 정부 내부적으로 적극 검토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화답했다.
이날 국무부가 타미 피곳 수석부대변인 명의로 낸 자료에 따르면, 두 사람은 “한미동맹의 지속적 발전과 미래지향적 의제 증진을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양측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 의지 및 지난 22일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의 성과, 인도·태평양과 한반도 지역의 평화와 안보·번영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에도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랜도 부장관은 지난달 25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한국의 미국 내 투자 및 양자 워킹그룹 구성 등 최신 경제협력 이슈도 짚었다. 국무부 측은 “양측 모두 미국 방문·투자 촉진을 위한 워킹그룹 구성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며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즉 APEC 경제 지도자 주간을 포함해, 한국이 성공적으로 의장국의 해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고 설명했다.
당분간 한미 양국은 비자·관세 등 이슈와 더불어 북핵 대응, 역내 경제·안보 협력 등 주요 현안을 긴밀히 협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관련 워킹그룹 출범과 각종 의제별 실무 논의를 통한 신속한 후속조치 이행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