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전환 본격 논의”…노동부, 일자리정책 로드맵 드라이브
AI 기술 급성장이 국내 노동시장 일자리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할 변수가 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12일 ‘AI 산업전환과 일자리’ 포럼을 공식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와 산업계, 노동시장 전문가들이 모여 AI 발달이 촉발하는 고용 생태계 변동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겠다는 취지다. 최근 제조·서비스·물류 등 산업현장에서 AI 자동화 적용이 확산되면서 생산성 향상과 신기술 인력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포럼을 ‘산업전환 대응 일자리정책 정립’의 분기점으로 해석한다.
이번 포럼에는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김득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원장 등 13명의 AI 및 노동시장 분야 전문가가 참여했다. 김 전략부문장은 실제 산업현장 내 AI 자동화 사례를 제시하며, AI 시대에 부합하는 직무 재정의와 재교육 필요성을 강조했다. 직무 내용이 변하고 인간-기계 협업 업무가 늘어나면서,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의 시급성이 더욱 커졌다는 평가다.

김 부원장은 정부 차원에서 AI 기반 인프라와 다양한 산업 분야 지원을 중점적으로 추진 중임을 설명했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 구도 심화와 함께, AI 주도권 확보가 각국에서 핵심 국가전략으로 부상한 배경도 공유했다. 특히, 현장 적용에서 파생되는 노동시장 영향과 관련 법제·정책 연계 대응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포럼은 월 1~2회 정기화를 예고했으며, 앞으로 AI 전환에 따른 인재 양성, 인사노무관리 법적 쟁점, 사회안전망 개선 및 AI 활용 고용노동서비스 혁신 등 구체 이슈를 논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AI 대응 일자리정책 로드맵’ 마련의 근거를 충실히 확보할 방침이다.
정부는 AI 인력 미스매치 최소화를 위해 신기술 중심 직업훈련도 대폭 확대한다. 2026년 예산안에는 AI 등 첨단산업·디지털 실무인재 5만명 양성과 AI 훈련 인프라 확충, 중소기업 맞춤형 AI 교육 지원 방안이 새로 반영됐다. 이는 실제 산업 전환 속도와 노동시장 수요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풀이된다.
글로벌 시장에선 이미 AI와 일자리 논의가 정책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미국·유럽은 AI 인력 양성 국가 펀드 조성, 산업 전환기 인력 재배치 정책 등 전방위형 지원 수단을 다각화 중이다. 반면 국내에선 산업별로 자동화 진전 속도 격차가 큰 만큼 정부의 주도적 역할이 더욱 주목받는다.
전문가들은 AI가 생산성 향상과 고용구조 재편의 양면성을 동시에 지닌다고 분석한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AI가 기존 일자리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기술 진화가 공정하고 안전한 노동환경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현장 중심 직업훈련 강화와 함께, 새로운 기술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 구축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 로드맵 마련이 실제 고용시장 충격 완화와 인재 양성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 혁신과 고용정책의 조화, 노동시장 제도 개선이 AI 시대 성장의 핵심 선결 조건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