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보도지침, 진심이 물든 무대”…신윤지·황두현 울림의 눈빛→관객 마음 뒤흔들다
엔터

“보도지침, 진심이 물든 무대”…신윤지·황두현 울림의 눈빛→관객 마음 뒤흔들다

박다해 기자
입력

환한 조명과 함께 막이 오르자, 신윤지와 황두현이 빚어낸 생동감과 섬세함은 단숨에 관객을 무대 한가운데로 이끌었다. 배우와 관객, 그리고 현실의 경계가 허물어진 서울숲 씨어터에는 연극 ‘보도지침’의 깊은 진심이 자욱이 번져나가기 시작했다. 연극의 심장 같은 마지막 공연이 펼쳐진 순간, 객석마다 저마다의 감정선이 차분히 겹쳐졌다.

 

‘보도지침’은 1986년 한국 언론사의 어두웠던 시간을 토대로, 사실과 진실 사이에서 길을 묻는 목소리들을 진정성 있게 담아냈다. 법정과 대학 연극반 무대를 넘나드는 구성 위에 혁신적 4면 무대가 더해지며, 관객은 각기 다른 시선과 거리감으로 극을 곱씹을 수 있었다. 이번 시즌의 젠더프리 캐스팅은 인물의 본질에 한층 가까이 다가갔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회부 기자 김주혁 역을 오롯이 자신만의 온기로 채운 신윤지, 황두현, 임찬민 등은 저마다의 색채로 무대를 수놓았다. 편집장, 검사, 변호인, 판사 등 모든 배역을 성별에 얽매이지 않은 캐스팅이 더욱 넓은 해석의 지평을 열어 주었다.

“경계를 허물다”…연극 ‘보도지침’, 관객과 무대가 하나된 깊은 여운→성공적 폐막
“경계를 허물다”…연극 ‘보도지침’, 관객과 무대가 하나된 깊은 여운→성공적 폐막

무엇보다 관객이 무대의 주인공이 되는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도 큰 호응을 이끌었다. ‘마음을 고백하는 극장’에서 배우가 관객의 사연을 직접 낭독하고, 무대 위에서 함께 순간을 공유하는 ‘독백대회’, ‘특별 낭독회’는 극장 안의 시간마저 따스하게 흔들었다. 이러한 시도들은 무대와 객석의 벽을 완전히 허물며 모두의 공간으로 연극을 확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창작진은 지난 10년의 시간을 되돌아보며 연극 ‘보도지침’이 만들어 낸 변화와 성장의 의미를 되새겼다. 오세혁 작가는 오랜 시간 이어진 관객의 사랑에 감사를 전하며 언론과 자유, 그리고 모두의 연극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을 밝히기도 했다.

 

공연의 대미를 장식한 신윤지는 관객에게 뜨거운 고마움을 전하며 “큰 힘을 얻었다”는 진심을 고백했고, 황두현은 “시대의 표정과 함께 웃고 싶다”는 바람으로 뭉클함을 더했다. 임찬민 역시 “어제를 기억하는 연극이 머릿속에 오래 메아리치길 바란다”는 아쉬움과 희망을 동시에 전했다. 이런 배우들과 관객, 그리고 창작진이 함께 만든 ‘보도지침’은 지난 7월 5일부터 8월 17일까지 서울숲 씨어터 1관에서 완전히 새로운 연극의 결을 남겼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도지침#신윤지#황두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