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 실현”…배경훈, 국가 AI 대전환 본격 예고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대표 국정과제로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내세우고, 국가적 AI 대전환(AX) 전략에 가속을 붙이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산업계, 연구 현장이 모두 참여하는 AI 생태계 구축에 국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 AI 기술 경쟁이 국가 산업구조의 최상위 변혁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업계는 이번 청문회를 ‘AI 주도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배 후보자는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AI와 과학기술이 무한 경쟁의 시대를 주도한다”며, 국가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도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AI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부상한 가운데, 정부 차원의 인프라 및 데이터 확보, 인재 양성 정책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특히 배 후보자는 신속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첨단 GPU(그래픽처리장치)와 AI 인프라 확보, 민간 투자 활성화 정책 추진 등을 핵심 방안으로 제시했다. AI파운데이션 모델 지원 정책 등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 개발동력을 정부 주도로 확보해, 국내 AI 산업 전반의 확장성과 자생력을 이끌겠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는 최근 글로벌 AI 인프라 및 대형모델 경쟁 심화에 대응해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려는 전략과 맞물린다.
아울러 그는 국민 누구나 단절 없이 AI에 접근할 권리를 보장하고, AI 안전과 신뢰 기반을 강화하는 설계도 그리고 있다. 동시에 연구개발(R&D) 투자 효율화를 중점 과제로 꼽으며, 연구자 중심의 R&D 관리체계 개편, 성장 선순환 구조 확립을 예고했다.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개방형 과학기술 거버넌스 확립도 추진할 방침이다.
AI 인재 양성 측면에서는 우수 인재의 생애 전주기 지원, 해외 인재 유치, 연구자 처우 개선을 강조했다. 인력 확보와 환경 개선 없이는 대한민국 AI 경쟁력 강화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입장은 미국, 중국, 유럽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AI 인재와 컴퓨팅 자원 선점 경쟁을 본격화하는 글로벌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과학기술정책 분야에서는 AI와 산업의 통합을 강조하고,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는 정책 의사결정 필요성을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AI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과 함께 거버넌스, 윤리, 산업 생태계 등 전방위적 정책 조화가 중요하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 구상이 실제로 법제화·예산지원 등 실질적 진전으로 이어질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 인재, 제도 등 다층적 균형이 국가 AI 경쟁력 확대의 중대 고리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