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SNS 상담 사칭 확산”…온라인피해365센터 금전 사기 주의령

신채원 기자
입력

SNS를 통한 상담 사칭이 IT·바이오 산업 전반에서 새로운 디지털 금융 범죄 유형으로 대두되고 있다. 온라인상 각종 피해 상담을 맡는 ‘온라인피해365센터’를 사칭한 금전 요구 사기가 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이용자와 업계 모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기 행각이 ‘디지털 신분 사칭 사기’ 방지 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 따르면 최근 틱톡 등 주요 SNS 플랫폼에서 온라인피해365센터를 사칭하는 계정을 매개로, 피해 상담을 빌미로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는 신고가 계속 접수되고 있다. 지난 1개월간 365센터 자체 접수만 17건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실제 금전 피해가 벌어져 경찰 수사로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의 온라인 상담 흐름을 악용한 이번 사기수법은, SNS 광고로 피해자를 유인한 뒤 ‘365센터 소속 변호사’라 주장하는 특정 연락처를 오픈해 피해자와 연결하도록 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상담 과정에서 국가안보센터나 국가보안기술센터 등 공식 기관 명칭을 거론하며, 이체나 송금을 종용하는 사례가 주를 이룬다. ‘공공상담기관은 상담 과정에서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과 달리, 피해자들은 사적 메신저나 1:1 소통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 금전 전달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위험요소로 지적된다.

 

공공기관 역할을 사칭한 디지털 범죄는 사용자의 신뢰심을 역이용한다는 점에서 IT·바이오 산업의 신뢰 인프라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365센터 측은 “공식 계정 및 인증마크 확인이 필수이고, 상담원이 아닌 변호사의 일대일 메신저 연결, 금전 요구가 발생하면 즉각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SNS를 악용한 사칭 피해 사례가 증가 추세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주요 공공기관이 인증마크, 다단계 보안 인증, 사칭 방지 전용 신고창구 등을 통해 미연에 범죄 사례 차단에 나서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사칭 광고 차단이나 계정 삭제가 뒤따라 이 같은 보안체계 도입·법·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울러,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는 피해방지를 위해 SNS에서 의심 계정이나 광고 발견시 즉시 신고할 것과, 명의도용·대출·휴대전화 개통 등 이차 피해 여부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업계 전문가는 “디지털 신분 사칭을 통한 금전 요구가 확산되는 만큼, 서비스 사업자와 규제기관이 신속한 대응체계와 인증체계 확립에 나서야 한다”며 “이용자 교육과 신고 활성화가 기술보다 선행돼야 디지털 신뢰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금전 사기 문제를 계기로, 사칭·피싱 등에 대응하는 정책과 산업적 안전망 점검이 강화될지 주목하고 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온라인피해365센터#사칭금전사기#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