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비상대응”…개인정보위, 서비스 복구 총력전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공공 IT 인프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비상대응에 나섰다. 개인정보위 관할의 주요 대민 서비스가 이로 인해 약화된 상황에서, 위원회는 사고 발생 직후 위기대응반을 긴급 가동하고 국정자원관리원과의 긴밀한 협업 아래 복구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공공 데이터센터의 안전관리와 서비스 연속성 확보 경쟁의 분수령으로 해석하고 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화재로 인해 대표 홈페이지, 개인정보 포털, 분쟁조정위원회 등 7개 주요 온라인 서비스 누리집이 일시 장애 상태이나,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이나 외부 침해 징후는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정상화 전까지 위원회는 전화, 이메일, 팩스 등 비상 대체 접수 방식을 안내하며, 주요 민원은 임시 창구를 통해 접수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는 지정된 이메일을 통해, 개인정보 열람 요구·지우개 서비스·분쟁조정 등도 이메일이나 팩스 등으로 임시 대체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공공기관 정보 처리의 디지털화와 데이터 집중화가 가져온 복합리스크를 드러냈다. 국가 주요 데이터 인프라가 일시에 중단될 때, 민원인·기관 모두 신속한 대체 경로 구축 및 위기대응 체계의 중요성이 재확인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쟁적 공공 데이터센터 관리 체계와 제도적 보완 필요성도 논의된다. 예컨대, 유럽·미국은 정부 클라우드센터의 재난 대비 시나리오 마련과 분산 백업, 서비스 상시 점검 규정을 의무화하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이 같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비상계획 강화 목소리가 높아질 전망이다.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자료의 제출기한 역시 서비스 복구 일정에 맞춰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개인정보위는 서비스 복구가 이달 28일까지 완료되지 않으면, 자료 제출기한을 공식 연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공공 데이터센터가 국가 핵심인프라로 자리 잡으면서, 화재·정전 등 물리적 사고에 대한 복원력(resilience)이 곧 디지털 행정 신뢰성과 직결되는 시대가 됐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장애가 정보보안, 데이터 분산화 등 분야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