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V 기술 표준화 주도”…현대차그룹, 파트너십 혁신→공급망 재편
글로벌 자동차 패러다임이 소프트웨어 중심(SDV)으로 급격히 전환되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이 국내외 주요 협력사들과의 소프트웨어 파트너십을 대폭 강화한다. ‘플레오스 SDV 스탠더드 포럼’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SDV 상용화를 위한 기술 표준 확산과 개발 체계의 대대적 혁신에 시동을 건다. 글로벌 부품사와 개발사, 보안·진단 분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집결한 이 포럼은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 지형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평가다.
현대차그룹은 20일 경기도 판교 소프트웨어드림센터 사옥에서 주요 협력사 58개사와 함께 SDV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플레오스 SDV 스탠더드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단일 제조사를 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보안, 진단 등 자동차 가치사슬 전 영역이 소프트웨어 플랫폼화되는 현실에 발맞춘 공급망 구조 혁신을 겨냥한다. 현대모비스·현대케피코·보쉬·콘티넨탈·HL만도 등 국내외 대표 제어기 및 부품사가 포럼에 참석해 SDV 전환 전략을 공유했다. SDV는 차량 기능이 출고 시점에 고정되는 전통적 차량과 달리, 출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기능 업데이트와 확장이 가능한 것이 본질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제조사뿐만 아니라 전 부품·SW·검증·보안 생태계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근본적 재편을 요구받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이번 포럼에서 발표한 ‘플레오스 비히클 OS’,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 CODA, 외부 디바이스 표준화 등은 SDV 양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기술 표준의 핵심축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소프트웨어 사양 정의, 기능 검증, 개발 산출물 관리 등 전 개발 주기별로 일원화된 SW 개발 체계와, 현장 환경에 즉각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가이드라인도 제시됐다. 현대차그룹과 협력사 간 개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보안을 유지하며 연계·공유된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산업에서 데이터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점차 중요해진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장은 “SDV 구현을 위한 핵심은 파트너 간 신뢰 기반의 협력과 표준화 확산”이라고 밝혔으며, 향후 기술 표준 보급과 공급망 체계 혁신에 앞장설 뜻을 분명히 했다. 업계에서는 SDV 플랫폼이 향후 자동차산업의 경쟁력과 시장 지배 구조를 좌우할 전략자산으로 부상함에 따라 글로벌 업체 간 기술·인재 확보 전쟁이 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그룹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전략은 지난 3월 ‘플레오스 25’ 개발자 콘퍼런스 공식 발표와 이번 포럼을 잇달아 계기로 삼아, 소프트웨어 기반 혁신의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