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교육계 기대와 우려 교차
정치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교육계 기대와 우려 교차

강민혁 기자
입력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구상과 함께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정치권과 교육계의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의 현장 경험과 정책 실행력을 두고 기대와 우려가 맞서면서, 차기 교육정책 지형의 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는 7월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서 출근하며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같은 날 충남대학교 총동창회는 성명을 내고 “구조적 교육개혁과 국가균형발전을 주도할 적임자”라며 이진숙 후보자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다. 반면 충북교육연대를 비롯한 일부 교수 및 교육 단체들은 “현장 소통의 부재와 민주적 행정 미흡”을 지적하며 후보자 지명 재고를 촉구했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출근길 질의응답 / 연합뉴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출근길 질의응답 / 연합뉴스

이진숙 후보자의 정책 이력 중 특히 ‘서울대 10개 만들기’ 구상은 교육계 안팎에서 뜨거운 논란을 일으켰다. 전국 9개 거점 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안에 대해, 지역균형발전의 상징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대학 간 서열화·실효성 문제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명문대 만들기로 변질될 수 있다”는 목소리와 “지방대 경쟁력 강화의 계기”라는 기대가 팽팽하게 맞선다.

 

전문가들은 지방대특성화 및 지역 맞춤형 지원 전략과 연계 없는 일방적 자원 집중이 기존 사업과 충돌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글로컬대학 30” 사업 연계, 지역산업과의 협력 방안 등 실질적 실행 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가 국민추천제로 지명된 점 역시 논란의 요인이 되고 있다. 교육 관련 시민단체들은 “추천 및 검증 절차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각종 단체 및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은 사람 중심의 신뢰가 중요하다”며 보다 신중한 인사 검증을 요구하고 있다.

 

정치권 내에서도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이진숙 후보자가 공교육 개혁의 적임자인지 의문”이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구조개혁 의지와 후보자의 정책 실행력을 근거로 기대감이 감지된다.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논란과 기대가 앞으로의 교육정책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교육계와 지역사회를 넘어 정치권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회는 공식 인사청문회를 통해 이진숙 후보자의 자질과 정책비전을 집중 검증할 예정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진숙#서울대10개#교육부장관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