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현장, ‘무자격’ 공방 치열”…여야, 강선우·권오을 연이은 충돌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두고 여야가 강하게 맞붙었다. 청문회 슈퍼위크 이틀째인 15일, 주요 부처 장관 및 국세청장 후보자를 둘러싼 자료 제출과 자질 검증 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각 당은 서로 “비방”과 “거짓 해명”을 문제 삼으며 정면충돌 양상을 이어갔다.
국회에서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등 이재명 정부 첫 내각 후보자들의 검증이 계속됐다. 국민의힘은 전날 강선우 후보자의 갑질 의혹에 이어 “거짓 해명 논란까지 겹쳤다”며 강 후보자 등 ‘무자격 5적’에 대한 사퇴 압박을 강화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정무위원회 간사는 “2003∼2004년 여러 업체에서 동시 급여를 수령한 권오을 후보자의 해명이 납득되지 않는다”며 “홍길동의 분신술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고 직격했다.

여야는 증인 채택, 자료 제출 문제로도 신경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주요 증인 채택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과 이재명 대통령 재임 시절 네이버의 깊은 이해관계를 언급했다. 박성민 산자위 야당 간사는 “기업인 보상용 인사이자 공직 뒷거래”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한 후보자가 관련 사건과 무관하다며 즉각 반박했다.
국세청장 후보자 청문회에서도 국민의힘과 야당은 임광현 후보자의 전관예우 의혹을 문제 삼았다. 이들은 “퇴직 후 세운 세무법인이 전관예우 효과로 급성장했다”고 지적했으나, 더불어민주당은 “법적으로 제출할 수 없는 자료까지 강요한다”며 반발했다.
국방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단기사병 출신인 안규백 후보자의 병역 경력을 둘러싼 공방이 재연됐다. 여야 지도부는 각 당 회의에서 입장차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인신공격과 반대를 위한 반대로 일관했다”며 “현행 인사청문 제도에 회의감이 든다”고 평가했다. 민주당은 이미 청문회 검증의 비공개 확대 등을 담은 관련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전진숙 의원도 “내각의 신속 구성으로 국정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묻지마식’ 인신공격과 정쟁에는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여당이 자료 제출과 증인 채택에 협조하지 않는다”며 “국민 앞 검증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강선우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여야가 청문회를 둘러싸고 격돌하면서, 인사 검증 절차와 기준, 제도 개혁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재점화되고 있다. 국회는 향후 장관 후보자 검증을 두고 공방을 이어갈 예정이며, 청문회 제도의 개선 요구 역시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