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도 실용외교로”…과기정통부, 국제협력 강화 전략 내놓다
세계적 공급망 불안과 통상·안보 이슈가 심화됨에 따라 정부가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협력을 적극 확대하기로 했다. 첨단기술 투자를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관세·수출통제 등 통상이슈와 안보 불확실성까지 높아지면서, 산업·기술계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부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새로운 실용외교의 축으로 삼아, AI, 바이오, 원자력 등 전략기술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장기적 협력 강화에 나선다. 업계는 이번 방침을 ‘첨단기술 패권 경쟁의 전환점’으로 주목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과학기술자문회의 자리에서 ‘과학기술 국제협력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외교·통상·과학기술 전문가와 함께 글로벌 정세 변화가 과학기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전략기술 개발, 연구안보 강화 정책을 중심으로 외교적 시각에서의 실질적 협력방안이 제시됐다. 특히 바이오, 원자력 등 필수 기술의 해외 공동연구와 국제 협업 체계 구축이 핵심 화두로 떠올랐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유럽·일본 등 주요국들이 반도체, AI, 바이오 분야 투자와 동맹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기술 표준·수출 규제 등 경제안보 연계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각국이 기술패권 확보를 전략 과제로 설정하며, 국제적 연구협력의 중요성도 배가되고 있다. 과기정통부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꾸준히 글로벌 R&D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정부 간 정례 협의 채널 개설 등 실효적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연구데이터 보호, 공급망 회복탄력성(Risk resilience), 기술윤리 기준 공동마련 등 첨단산업 환경에 맞춘 고차원적 협력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국내에서는 최근 AI, 바이오, 원자력 등 전략 분야에서의 국제공동연구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정책 지원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이 필요한 상황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실용외교 기조와 발맞춰, 앞으로도 첨단기술 분야 국제협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산업·연구계의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구체적 실행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 방안이 실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전략기술의 시장 확장에 어느 정도 실효성을 발휘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