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군사협력 중단 촉구"…조현 외교부 장관-라브로프, 한반도 정세 정면 충돌
한미-북러 갈등이 한반도 평화를 둘러싼 외교 무대에서 다시 격돌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이 뉴욕에서 정식 회담을 갖고 북러 군사협력과 지역안보 의제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처음 성사된 한러 외교장관 양자 회담에서 양국 간 입장차가 여실히 드러났다.
외교부는 27일(현지시간 26일) 조현 장관이 유엔총회가 열린 뉴욕에서 라브로프 장관과 회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조현 장관은 한반도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정책을 설명하고, "북러 군사협력 지속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한다"며 "즉각 중단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요청했다. 그는 또 러시아 내 체류 중인 한국인의 안전보장과 한국 기업의 안정적 경제활동 여건 조성을 위한 러시아 측의 관심도 촉구했다.

그러나 라브로프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에 대한 비판에 직접 반박하며, "미국과 그 아시아 동맹국들이 북한을 겨냥해 군사적 행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제재 강화와 강압정책은 도발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러시아 외무부는 "한반도 긴장 해소에는 상호 존중에 기반한 대화 복귀 외에 대안이 없다"고도 밝혔다.
한러 외교장관이 정식 대좌한 것은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7월 라오스 아세안 회의장에서 조태열 당시 외교장관이 라브로프 장관과 약식 회동을 가졌으나, 양자 정식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최근 한러관계가 우크라이나 전장 내 북러 연대, 대북 지원 의혹 등으로 악화 일로를 걸어온 만큼 이번 회담의 상징성에 주목했다. 한국 정부는 러시아의 군사지원 확대가 한국 안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경계심을 드러내며, 지속적 고위급 소통 필요성을 강조했다. 반면 러시아는 한미동맹의 군사행동이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했다.
관계자들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논의가 이어지면서 한러간 명확한 현안 조율 필요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향후에도 양국은 견해차를 좁히기 위한 외교 채널을 가동할 방침인 만큼, 동북아 안보지형 변화와 맞물린 한러관계 진전 여부가 주목된다.
정부는 러시아와의 고위급 소통을 바탕으로 북러 군사협력 철회 등 한반도 평화와 한국인의 안전 확보 노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