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사격 도발 멈추라”…북한 총참모부, 남측 군사행위에 강력 반발
경계선 충돌 가능성이 다시 부각됐다. 북한군 고정철 육군 중장은 2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남북 접경지역에서 벌어진 한국군의 경고사격을 ‘의도적 도발’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북한은 최근 남부 국경 차단물 공사와 관련해 양측 군사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정철 부총참모장은 “8월 19일 남쪽 국경선 부근에서 차단물 영구화 공사를 진행하는 북한 군인들을 향해 한국군이 12.7밀리미터 대구경 기관총으로 10여 발의 경고사격을 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안정적 환경을 담보하기 위한 차단물 공사를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그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군은 우발적 충돌 방지를 위해 6월 25일, 7월 18일 두 차례에 걸쳐 주한미군 측에 공사 내용을 통지했다고 언급하면서도, “공사 인원들을 자극하는 도발행위들이 오히려 더욱 악의적으로 변하면서 급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확성기 방송이 3, 6, 15, 28사단 등 여러 부대에 확대되고 ‘사격하겠다’는 위협적 망발이 일상화되고 있다”며 불만을 표명했다.
북한군은 한미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 기간 중 이 같은 경고사격이 이어진 점을 두고 “군사적 충돌을 노린 계획적·의도적 도발행위”라며 “위험천만한 도발행위를 즉시 중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만일 공사를 방해하는 행위가 지속될 경우, 우리 군대는 이를 의도적인 군사 도발로 간주하고 상응한 대응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리 군 관계자에 따르면, 비무장지대에서 북한 군이 군사분계선을 침범할 경우, 경고방송 이후 실제 경고사격까지 단계적으로 대응이 이뤄진다. 당국은 북한의 공사가 군사분계선을 국경선화하려는 의도라는 해석과 함께, 2023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강조한 ‘적대적 두 국가론’의 연장선에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부터 MDL 인근에 다수 병력을 투입해 삼중 철책 설치, 대전차 방벽 구축 등 등 방어 공사를 지속해 왔다. 한미연합훈련과 맞물려 양측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추가 충돌이나 경계 강화 움직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정부는 접경지역 상황 악화에 대비해 군사·외교적 채널을 통한 관리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