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문성과 과학기술 현장경험 살리겠다”…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 국회 인사청문회서 포부 밝혀
인공지능(AI)와 혁신 과학기술을 둘러싼 기대와 과제가 교차하는 가운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청문회에서 정책 구상을 밝혔다. 14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배 후보자는 AI 현장 전문가이자 과학기술인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 체감형 성과 창출에 나서겠다는 각오를 내비쳤다.
배 후보자는 “산업의 최일선에 있었던 인공지능 전문가로서, 그리고 과학기술인으로서 현장 경험을 살려 국민이 체감하는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혁신적 과학기술과 AI는 우리 경제와 산업의 새로운 동력을 공급하고 안전과 신뢰에 기반한 합리화 효율을 국가 전체에 확산시키는 원천”이라고 설명하며, AI가 대한민국의 ‘진짜 성장’을 견인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으로 배 후보자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첨단 그래픽처리장치 확보 등 AI 인프라를 조속히 구축하고 민간에서도 AI 인프라에 적극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각 지역, 전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 전환(AX)을 적극 지원해 지역 소멸과 산업 성장 정체 문제를 해소하고,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학습용 데이터 확보·활용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연구개발(R&D) 혁신과제에 대해 배 후보자는 “충분한 규모의 연구개발(R&D)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 R&D 투자 체계를 혁신하고, 다양성과 예측 가능성이 존재하는 기초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기초과학 등 과학기술 분야에서 AI를 적극 도입해 연구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덧붙이며 데이터 기반 연구환경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정치권 및 과학계 일각에선 배 후보자의 산업 실무 경험이 정책 현장에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하고 있다. 또 지원책의 실행력과 관련 법령 정비, 재원 확보 방안을 둘러싼 논의도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는 배 후보자의 청문회 이후 임명동의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향후 정부는 국가 AI 전략과 R&D 혁신 과제를 구체화하는 한편, 인재 양성과 산업 현장 지원책 마련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