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불신임안 가결”…5·18부상자회, 조규연 해임 두고 내홍 심화
선거 담합 의혹을 둘러싼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의 내부 갈등이 다시 고조됐다. 5·18부상자회 조규연 회장이 불신임 안건 가결로 또다시 해임 처분을 받으면서, 집행부와 회원 간 법적·조직적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는 27일 광주 서구 5·18민주화운동교육관에서 임시중앙총회를 열어 조규연 회장에 대한 불신임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 자리에서는 최창수, 이지현 부회장 등 집행부 6명 불신임과 대의원 6명에 대한 1년 자격정지도 함께 결의됐다. 참석 대의원들은 회장 선거에서 드러난 담합 의혹 1심 판결과 조직 신뢰 위기를 지적하며, 조 회장 등 현 집행부의 즉각 퇴진을 주장했다.

조규연 회장은 2023년 치러진 회장 선거에서 다른 후보 2명과 담합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에 부상자회 회원들이 제기한 민사소송 1심에서 올해 5월 당선무효 판결을 받았고, 현재 항소를 진행 중이다. 6월에 개최된 임시총회에서도 조 회장 불신임안이 가결됐으나, 조 회장이 법원에 신청한 임시총회 효력정지 가처분이 인용되며 회장 직을 유지했다.
그러나 일부 회원들이 다시 임시총회를 소집해 불신임을 재차 의결하는 등, 단체 내 분열은 수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집행부 측과 반대파 간 법적 공방도 이어지고 있다. 이날 불신임 처리에 반발해 조 회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임시총회 구성요건이 성립되지 않아 효력이 없다"며, "단체 직무는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 회장은 임시총회 의결의 법적 무효성을 강조하며 소송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전·현직 집행부, 대의원들 간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는 존립 위기에 봉착했다. 회원들 사이에서는 사법부 판단에 따라 조직 진로가 좌우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과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는 조 회장 거취와 조직 쇄신 방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부상자회 내홍이 지속되는 한 회원권 보호와 명예 회복 등 주요 현안 논의도 표류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단체는 향후 법원 판단 및 후속 총회 결정을 토대로 추가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