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게이트 칼끝 재계까지”…김건희 여사 둘러싼 특검 수사 급물살
‘집사게이트’ 등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대기업 경영진을 본격 소환 대상으로 거론하면서, 파장이 정치권과 재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검이 벤처기업 IMS에 대한 거액 투자 배경에 배임 혐의를 적용, 기업 최고 경영진들까지 조사선상에 올리면서 수사 수위가 크게 높아졌다.
특검은 이번 주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에게 참고인 출석을 통보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이들 경영진은 7월 17일 오전 10시 집단적으로 조사를 받을 예정이며, 현재는 참고인 신분이나 수사 추이에 따라 피의자 전환 가능성도 거론된다.

수사팀은 특히 IMS 등 기업에 대한 투자가 실제로 부실기업 지원과 차명회사를 통한 자금 유출로 이어졌는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동시에 압수수색 영장 청구 등 강제 수사 절차도 병행되고 있으며, 확보된 자료 분석 결과에 따라 기업뿐 아니라 공무원, 정치권 전반으로 조사 범위가 확장될 전망이다.
한편 특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등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주요 의혹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15일 기준, 삼부토건 전·현직 경영진 4명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고, 주가 부양과 허위 정보 유포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양평고속도로 노선 특혜 의혹 수사 역시 국토교통부 및 관계 기관을 상대로 한 압수수색, 주요 관계자 피의자 전환 등으로 빠르게 진전 중이다.
민중기 특별검사팀 관계자는 “집사게이트 관련 기업인, 정치 공직자에 대한 소환과 압수수색 등 전방위 수사가 전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사팀이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을 둘러싼 각종 논란의 실체 규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평가다.
정치권과 재계는 특검의 조사 방식과 결과 발표를 예의주시하면서도, 공식 입장을 자제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분위기다. 줄줄이 이어지는 의혹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특검 수사 결과와 향후 정국 파장에 대한 관측도 분분하다.
국회와 정치권은 이번 특검 수사가 추후 회기 일정과 정국 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