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해외직구 생활화학제품 5개 중 1개 불합격”…조지연, 소비자 안전관리 강화 촉구

조민석 기자
입력

해외직구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 문제가 다시 정치권 쟁점으로 떠올랐다. 최근 국내 유통된 방향제, 세정제 등 생활화학제품 가운데 5개 중 1개는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소비자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부적합률이 1년 만에 큰 폭으로 뛰면서 안전성 확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경북 경산)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실시한 해외직구 생활화학제품 안전성 조사에서 531개 제품 중 117개(22%)가 '함유 금지' 또는 '함유 제한' 유해물질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부적합률은 15%(60개/400개)로 확인됐다. 최근 2년간 평균 부적합률 역시 19%(177개/931개)에 이르러, 꾸준히 우려가 커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조사 결과, 방향제에서의 부적합 판정이 64건(36.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용 접착제 19건(10.7%), 광택 코팅제 11건(6.2%), 탈취제 8건(4.5%), 세정제 6건(3.4%) 순이었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주원료로 국내 사용이 금지된 CMIT, MIT가 동시에 검출된 사례도 56건(31.6%)에 달했다. MIT 단독 검출이 19건(10.7%), 톨루엔 17건(9.6%),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폼알데하이드가 각 10건(5.6%)로 뒤를 이었다.

 

정치권에서는 생활에 밀접한 화학제품 안전이 곧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점에 무게가 실렸다. 조지연 의원은 "생활화학제품은 우리 일상과 밀접한 만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직구를 통해 유입되는 제품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과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사회 일각에서는 "안전성 검증을 통과하지 못한 제품 상당수가 해외 유입 제품에 집중되고 있다"며 당국의 감독 역할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사후 안전성 관리는 물론, 소비자 대상 정보 제공 역시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와 국회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 필요성을 본격 논의할 전망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관련 법·제도 점검과 함께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지연#생활화학제품#해외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