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조선협력 1천500억 달러 합의”…구윤철 “마스가 프로젝트, 무역협상 최대 기여”
미국과 한국 간 조선·무역 협상의 이해관계가 날 선 충돌을 보였다. 한미 양국 정부는 3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한국대사관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조선협력 및 무역 협상이 체결됐다고 발표했다. 핵심 쟁점으로 부상한 ‘마스가 프로젝트’ 등을 두고 양측 수석 인사들이 연쇄 면담을 이어가며, 트럼프 대통령까지 직접 한국 조선업 지원 강화를 언급하는 등 정국 긴장이 고조됐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번 협의에서 가장 의미 있는 대목은 1천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 즉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라며, “미국 현지 조선소 설립과 인력 육성, 선박·공급망 재구축, 유지보수 등이 포괄적으로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 조선 기업들의 세계적 경쟁력이 미국 조선업 부흥에 최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며, 선박 건조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전폭적 협력을 바란다”는 입장을 직접 밝혔다고 협상단 관계자가 전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역시 “미국 내 조선·선박 수요를 우리 기업이 함께 확보할 기회를 열었다”며, “향후 국내 기업의 미국 조선소 투자에 발맞춘 업무협약(MOU) 체결도 추진된다”고 덧붙였다.
농축산물 부문에서는 미국의 광범위한 시장개방 압력이 확인됐다. 구 부총리는 “미국 측의 비관세 장벽 축소와 시장 확장 요구가 매우 강했다”며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설명과 대응 끝에 미국이 한국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 개방 요구를 철회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검역절차 개선, 자동차 안전 기준 동등성 인정 등 기술 협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비관세·기술장벽 등 남은 과제 역시 논의가 지속될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이번 무역합의에서 마스가 프로젝트 1천500억 달러, 경제안보 분야 지원을 위한 2천억 달러 등 총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 이상 대미 투자와, 이에 상응하는 대해 상호관세 25%에서 15% 인하 조치를 조건부로 묶었다. 이번 협상은 양국 경제·무역 라인 핵심 관계자들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하며 대타결을 이뤘으며, 31일 구윤철 부총리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단독회담도 합의 타결로 취소됐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이 FTA에 이전과 달리 매우 회의적인 입장으로 돌아서며 자유무역 질서의 근본 변화가 확인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관세·비관세 압박이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우리 기업도 시장 다변화와 체질 개선, 경쟁력 확보를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 조기 정상회담을 원한다”는 의사를 SNS를 통해 밝힌 사실도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조만간 백악관에서 공식 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은 대미 무역 불확실성 해소와 관세 인하라는 경제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추가 압박 여지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양국 협력의 체질 개선과 대응 전략을 주문하고 있다. 정부 협상단은 31일 오후 귀국해 후속 협의와 국회 보고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