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GPU 20만장 확보 구상, 데이터센터 전력·냉각이 난관”…김우영, 정책적 대응 촉구

박지수 기자
입력

정부의 대규모 GPU 확보 정책을 둘러싸고 국회와 정부 간 충돌이 본격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오는 2030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최대 20만장 확보에 나선 가운데, 데이터센터의 전력 및 냉각 인프라 한계가 정책 실현의 최대 관건으로 부각됐다. GPU 인프라 확충을 둘러싼 현실적 제약이 정치권 논쟁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당장 도입하는 GPU 1만3천장 배치는 현실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이후 추가 물량의 효율적인 수용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수도권에 집중된 데이터센터의 전력 공급과 냉각, 그리고 클라우드 상면 부족이 가시적 병목 요인으로 부상했다고 강조했다.

실제 GPU 초기 분량은 NHN클라우드,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의 데이터센터에 우선적으로 배치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오는 2026년까지 추가로 도입 예정인 2만장 설치에는 최소 30~40메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며, 5만장 규모의 배치 때는 112메가와트 이상의 대용량 공급이 요구된다. 또한 엔비디아 H200, B200 등 최신 AI 가속기 GPU의 경우 서버당 10킬로와트 이상의 전력을 필요로 해, 고효율 냉각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서울 데이터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공실률은 7% 미만으로, 이미 공급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고밀도 전력(20~40킬로와트)과 고효율 냉각을 지원하는 상면 역시 전체의 5% 미만에 불과하다. 기존 데이터센터가 저밀도 공랭식 구조로 주로 설계된 점을 고려하면, 첨단 GPU 서버에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는 데 구조적 한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김우영 의원은 “정부가 데이터센터 상면 부족과 전력 공급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고, 고밀도 전력과 고효율 냉각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데이터센터 확충에 더욱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업계와 전문가 사이에서는 정부의 GPU 확충 계획이 정책적 의지는 분명하나 인프라 혁신 없는 물량 중심의 접근으로는 성과를 담보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정치권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센터 인프라 한계를 해소하지 못하면, 인공지능 등 첨단 산업 정책이 앞으로 심각한 제동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회는 내년도 국가데이터센터 관련 예산편성과 전력 인프라 확충 정책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우영#데이터센터#g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