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남북대화 적임자 vs 북한 대변인 논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서 여야 충돌
정치

“남북대화 적임자 vs 북한 대변인 논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서 여야 충돌

권혁준 기자
입력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여야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또다시 맞붙었다. 7월 14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정 후보자의 남북 대화 추진력을 강조하며 ‘적임자’라고 치켜세운 반면, 국민의힘은 ‘북한 대변인’ 논란과 함께 도덕성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청문회가 시작되자마자 후보자의 대북관, 농지 및 태양광 의혹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지면서 정치권의 격돌이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동영 후보자의 과거 통일부장관 재임 경력과 한반도 평화 실현 노력을 강조했다. 홍기원 의원은 “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개선에서 큰일을 많이 했다”며 “어려운 시기에 정말 적임자”라고 밝혔다. 같은 당 이재정 의원도 “과거 통일부 장관 재임 시 벅찬 남북 행사를 함께한 경력이 있다”며, 남북 신뢰 회복의 중요성을 거듭 당부했다. 조정식 의원은 “9·19 군사합의 복원, 남북 군사 직통전화 복구 등 후퇴한 통일정책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용선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이 “공세적 북한 인권 문제에만 치우쳤다”며 현 정부 비판에 힘을 실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 후보자의 태도와 도덕성 문제를 집중 부각했다. 김기현 의원은 “정 후보자가 북한 대변인처럼 보인다”며 “북핵 개발에 이용된 햇볕정책 비판과 북한 인권 문제 소극적 대응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질타했다. 김석기 외통위원장은 “북한 눈치 보기에 급급하거나 굴욕적 정책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유용원 의원은 일방적으로 상대가 합의를 어긴 상황에서 “9·19 군사합의 복원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김건 의원은 북한인권법에 따라 북한인권재단 출범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정 후보자의 농지 취득 과정에서의 위장 전입, 재산 미신고와 가족의 태양광 업체 관련 논란 등 도덕성 문제를 부각했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는 위장전입 의혹을 인정하면서 "귀향 후 생활비 마련을 위해 생계형 투자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매입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자료 제출 문제와 증인·참고인 채택 여부를 두고도 여야간 신경전이 벌어졌다. 김건 의원이 ‘여당의 증인 채택 반대’를 비판하자, 민주당 김영배 의원은 “가족 및 사생활 의혹이 충분히 해명 가능한데도 불필요한 의혹 부풀리기만 집중한다”고 반박했다.

 

정동영 후보자 청문회를 둘러싼 공방은 신구 대북정책 노선과 도덕성 검증을 둘러싼 현 정치권의 고착 구조를 그대로 드러냈다. 국회는 이어지는 임명 절차에서 여야 간 이견 조율에 나설 전망이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동영#외교통일위원회#통일부장관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