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주식 7,700억 돌파”…국민연금, 디지털 자산 투자 확대에 논란도
국민연금공단이 올해 들어 7,700억 원(미화 5억5,67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관련 주식 보유액을 기록하며, 제도권 금융의 디지털 자산 투자 흐름이 가속하고 있다. 2025년 8월 18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이 같은 보유액은 지난해보다 182% 증가한 수치로 평가돼 전 세계 주요 연기금 중에서도 공격적인 행보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자산과 연결된 주요 글로벌 기업에 대한 국민연금의 선택적·집중적 투자 전략이 시장 내 제도적 정당성 확장과 블록체인 산업 성장 가속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민연금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핀테크 기업 블록(구 스퀘어), 그리고 로빈후드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 대한 지분 확대에 나섰다. 특히 특정 기업의 보유액은 상반기 2억490만 달러로 226% 급증했고, 세 기업 포함 총 보유액은 5억5,289만 달러에 달한다. 이는 단순 분산투자에서 한 단계 나아가 디지털 경제 인프라를 주도하는 핵심 기업 중심으로 투자 전환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공적 연기금의 직접 투자로 블록체인 산업 전반에 제도권 유입 신호가 명확해졌다며,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고도화, 연구개발 자금 유입 등 투자 생태계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한다. 아울러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새로운 수익원 확보 가능성이 열려, 자산운용 전략에도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암호화폐 관련 주식의 변동성이 크고 각국 규제 환경이 불확실한 만큼, 국민 노후 자산을 운용하는 공적 기금의 투자 적정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국민연금의 투자 확대를 두고 사회적 감시 필요성, 정치적 부담 등 책임 이슈가 동시에 제기된다. 국민연금 수급 대상자들 사이에서도 투자 실패에 대한 불안이 여전하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주요 연기금의 유사 행보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전망도 공존한다. 암호화폐 산업의 성숙도와 시장 안정성 제고에 선례로 작용할 수 있으나, 규제 리스크나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투자 안정성 저해 우려도 동시에 내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민연금의 이번 결정은 디지털 자산을 둘러싼 제도권 금융의 인식 전환이 얼마나 본격화될지 판단할 중요한 이정표로 받아들여진다.
향후 연금 운용의 방향성과 투자 실패 방지 장치 마련 등 공적 자금의 건전성 챙기기가 정책 현안으로 부각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