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본, 11억 긴급 투입”…우체국쇼핑 피해업체 구매 지원 본격화
우정사업본부가 대규모 시스템 장애로 피해를 입은 우체국쇼핑 입점업체들에 대한 긴급 지원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정사업본부는 2일, 지난달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센터 화재로 인한 플랫폼 마비 사태 이후, 피해 업체 357곳을 대상으로 11억원을 투입해 상품 5만4000건을 직접 구매했다고 밝혔다. IT 기반 거래 인프라의 취약성이 중소 상공인들의 매출 채널에 실질적 리스크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정사업본부는 피해 규모와 상품 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해, 재고 소진이 긴급한 92개 업체를 1차로 선정해 직접 구매를 집행했다. 피해 업체들은 플랫폼 매출이 한동안 정지돼 정상 영업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실제로 우체국쇼핑은 공공 플랫폼 성격상 전국 중소기업과 농어업인의 주요 온라인 판로로 작동한다.
특히 이번 지원은 단순한 현금지원이 아닌 우본이 상품을 직접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본은 피해신고센터 운영 결과, 추석 연휴 이후에는 지원에서 누락된 업체들을 대상으로 약 22억원 규모의 추가 구매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신속한 대처는 디지털 공급망 장애에 대한 기관 차원의 상시적 대비 체계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미국 등 주요 국가 역시 공공 IT 인프라 복구 및 중소 온라인상권 지원에 실시간 매출 보장책 도입 사례가 있다.
정부는 앞으로 우체국쇼핑 시스템의 정상화와 함께 대규모 특별할인전을 통한 민생 회복 조치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피해 업체의 조속한 지원뿐 아니라, 플랫폼 운영 전반을 재정비해 추가 피해를 방지할 행정역량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화재로 촉발된 IT 기반 공공거래 시스템의 위험 노출에 주목하며, 향후 데이터 백업, 재난 복구 등 전주기적 안전관리 강화책 마련이 중요해졌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