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4천억 부정거래 의혹”…하이브 흔든 검찰 고발→끝없는 긴장
예상치 못한 검찰 고발 소식이 하늘을 가르듯 엔터 업계를 강타했다. 하이브 방시혁 의장이 자본시장 내 불공정 거래와 깊은 의혹의 한가운데 서며, 업계와 투자자들에게 충격과 복합적인 불안을 불러일으켰다. 단단하게 쌓아 올린 사업적 신화, 그 이면에 숨어 있던 그림자가 이제 세상 위로 드러났다.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방시혁 의장과 하이브 전 임원 등 일부 관계자들을 사기적 부정거래 행위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하이브 상장 전후 투자자들을 상대로 한 사실 왜곡 및 부당 사익 편취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며, 자본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다. 증권선물위원회는 대중적 관심과 사회적 파장이 큰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며, 공정한 자본시장의 토대를 위협하는 행위에 엄격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방시혁 의장에게 제기된 혐의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법적, 도의적 중대 위반이었다. 그는 하이브 상장 전 투자자와 벤처캐피털 등에게 기업공개 계획이 없다고 고지하면서, 본인의 지인이 설립한 사모펀드에 지분을 매도하도록 했다. 이 시기 하이브는 실제로 IPO 관련 지정 감사인을 신청하며 빠르게 절차를 밟아가던 중이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앞선 신뢰를 배신감으로 바꿔야 했다.
더욱 문제가 된 부분은 방시혁 의장이 해당 사모펀드와 지분 매각 차익의 30%를 공유받기로 계약했음에도, 이러한 사실을 증권신고서에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모펀드로부터 정산된 이익만 해도 4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유례없는 대형 사건으로 번졌다. 사기적 부정거래는 투자자를 속이거나 시장 질서를 해치는 불공정 거래행위로, 이번 혐의가 인정될 경우 최대 무기징역과 벌금형까지 가능할 만큼 엄중하게 다뤄진다.
하이브 주가는 물론, 엔터테인먼트 내부 관계자와 투자자 모두가 긴장 속에 이번 사태의 종착점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자본시장의 신뢰 회복, 그리고 엔터 업계의 공정성 확보라는 두 겹의 과제를 안고 결과를 기다린다.
이번 방시혁 의장 및 하이브 전 임원 검찰 고발 건은 증권선물위원회가 공식 발표한 사안으로, 향후 수사 및 재판 과정에서 새로운 국면이 펼쳐질 예정이다.